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IPA 분석을 통해 정신재활시설 사례관리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정신재활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사례관리자 114명을 대상으로 사례관리 활동별 중요도와 수행도를 IPA와 대응 표본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례관리 단계 중 사정 단계가 가장 높은 수행도와 중요도를 보였다. 중요도와 수행도 평균값을 비교하였을 때, 대부분의 사례관리 활동의 수행도가 중요도에 비하여 낮았다. 또한, 대부분의 사례관리 활동이 제1사분면(높은 중요도-높은 수행도)와 제3사분면(낮은 중요도-낮은 수행도)에 위치하였다. 이 중 당사자 서비스 참여는 타 사례관리 활동보다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지만, 중요도와 비교하였을 때 수행도가 떨어졌다. 지역사회 자원 연계는 중요도와 수행도가 전반적으로 낮았지만, 낮은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재활시설의 당사자 서비스 참여와 지역사회 지원 연계를 활성화 시키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이 이뤄질 것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ase management in psychiatric rehabilitation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ase management activities, and 114 cases managers in the psychiatric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tudy analyse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ach case management through IPA and Paired T-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Assessment stage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and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was conducted as much as the importance. Except assessment, performance in all stages were significant lower than the importance. IPA analysis showed that most case management activities belonged to the quadrant Ⅰ(high importance-high performance) and the quadrant Ⅲ (low importance-low performance), but the T-test analysis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importance. Participation of Service users and Cooperation of community resource were lower than those of importance. Participation of Service users showed hi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but performance was relatively lower than importance. On the other hand, cooperation of community resource was low in overall importance and performance, moreover, performance was very low. It is considered that various efforts should be made to activate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