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초상화, 사진 같은 시각 자료와 초상 자찬이라는 문학 자료를 통하여 20세기 초반 지식인이 지녔던 자기 표상의 일면을 밝히고, 특히 망명 문인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러한 작업을 구체화시켰다. 망명 문인들의 초상화찬에서는 복식의 다양화를 통한 자기 표상의 연출이 두드러지고, 종래 초상화찬의 내용 유형 및 표현방식이 망명 체험과 길항하며 변주되는 양상을 보인다. 초상화찬사적 의의 면에서 볼 때, 20세기 초 망명 문인의 초상 자찬에서는 작품 창작 당시의 시대상․정치 상황과 이에 대응하는 문인의 자아상이 전통시대 작품들에 비하여 선명하게 형상화되는 경향을 보인다고 정리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genre of portrait panegyrics, writings added to portrait paintings, especially writers of exile in the latter Joseon(19~20th century) perio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bring portrait panegyrics, recognized to this point only as art history material, newly into the area of literature studies and to present a concrete scheme for classic literature studies related to painting. In these self praise of writers of exile, the traditional methods of description are altered by exile experience, and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is embodied more vividly than traditional portrait panegyr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