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중학교 역사교과서에 수록되기 시작한 고대 목간에 주목하여 서술 현황을 연구하였다. 2000년 이후 새롭게 달라진 역사교과서의 특징 중 하나는 역사학계의 최근 연구 성과가 더욱 다양한 모습으로 수록되었다는 것이다. 그러한 학계의 연구 성과가 역사교과서에 제대로 반영되었는지, 본문의 서술내용과 목간 자료의 연관성이 유기적으로 배치되어 있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역사교과서에 관한 연구는 서술내용이나 지도 등의 삽화자료를 분석하는 것이 주를 이루었기 때문에 고대 목간과 관련된 역사교과서 분석은 처음이라는 점에서 의미있다고 생각한다. 목간은 형태가 있기 때문에 시각 자료로도 분류할 수 있지만 문자가 기록된 문자자료이기도 하다. 따라서 목간에 남아 있는 문자를 통해 고대의 시대상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는 점에서 1차 사료로서의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기록된 문자는 당대 고대인들이 직접 작성한 것이므로 문헌자료에서는 알 수 없는 고대사의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고대 목간 관련 서술현황을 분석한 결과 몇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서술상의 문제점과 함께 개선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첫째, 목간의 정의와 용도에 대한 설명이 빠져있거나 소략하다. 목간은 신출자료이기 때문에 학습자에게 그 정의와 용도가 정확히 전달되어야 한다. 둘째, 교과서에 소개하는 목간은 대체로 현재 역사학계에서 논쟁이 없는 목간이 선택될 필요가 있다. 역사교과서에는 異見이 있는 史實은 반드시 이견을 함께 기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교과서의 본문 서술과 연관된 목간 자료를 수록하는 것이 학습에 효과적이다. 1차 사료로서 목간의 가치가 드러나기 위해서는 해당 목간이 본문의 주제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목간을 통해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하는지, 명확히 알 수 있도록 기재하여야 한다. 기타, 목간에 묵서된 글자가 선명한 목간을 교과서에 수록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또 묵서된 글자나 번역문을 캡션을 통해 기재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는 학습자가 목간의 용도를 상상할 수 있게 해준다. 목간은 고대인들이 기록한 문자자료이다. 따라서 목간에 기록된 문자를 읽고 의미를 파악하여 목간의 용도를 알게 된다면 그 목간이 역사적으로 어떤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 알 수 있게 된다.


This paper reviewed the status of ancient wooden descriptions contained in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from the 2007 revision curriculum to the 2009 revision curriculum. I think it is meaningful that the analysis of historical textbooks related to ancient wooden tablets is the first time since the study on history textbooks was mainly conducted by alayzing illustration materials such as descriptions and maps. The wooden writing was written by the ancient peoople of the time, so it also provides a wealth of information about ancient history that is unknown in the literatur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interpret the remaining characters and understand their meaning. However, the analysis on the status of historical textbooks in middle school showed some problems. In this article, I have considered the desirable direction of describing ancient wooden tablets in th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In particular, the research focused on the wood-to-wall type of writing, the relevance of wooden materials to the body of textbooks, and how well the primary source system reflects the value of wooden tablets. Based on this, the features of the ancient wooden description were summarized before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problems with the description were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