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5인의 불특정 개인―비공식 피담자 1인 별도 존재―을 심층 면담한 내용으로부터 그들이 역사·역사교육의 내용을 수용하고 상기하는 방식을 분석했다. 5인의 통행인과 1인의 비공식 피담자는 그 인지 수준과 긴밀 정도를 달리하면서 집단기억과 연결돼 있었다. 집단기억은 국가 통합과 민족 정체성 확립을 목표로 역사교육이 설계한 것이었다. 집단기억은 머나먼 과거로부터 현재로, 자아로부터 국가로 이어지는 하나의 연속된 집단 자아를 설정하고 있다. 그 안에서 역사·역사해석의 다원성과 불연속성은 종종 간과된다. 일방향의 주입식 교육은 국가 정체성의 집단기억을 강화한다. 통합된 단일 집단을 목표하는 국가의 理想은 개인들에게도 유효한 점이 있다. 결국 집단기억의 오류와 배타는 논의의 대상에서 종종 비켜 서 있다. 그런데 개인들은 반드시 역사교육의 수동적 수용자로 머물지만은 않았다. 그들은 역사교육이 제공하는 집단기억을 능동적·수동적으로 자기화한다. 개인기억은 역사기억·집단기억에 비해 분량이 현저히 적고 비연속적이었다. 피담자들이 별다른 직접적 체험과 지적 탐구 활동 없이 학교교육을 통해 얻는 역사지식은 대부분 기억 밖으로 소환되지 않았다. 집단기억에 대한 개인들의 망각과 회피는 공적 담론의 場을 벗어난 개인의 자율성의 한 표현이자, 집단기억의 ‘강압’을 향한 일상의 소극적 저항일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passersby and reveals their personal ways of understanding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History education serves for one nation or one state to instill collective memories and national identity into its citizens. Meanwhile, my interviewees did not remain submissive recipients. They apply collective memories to their cognitive system by forgetting and avoiding them. Personal memories are small in quantity and discontinuous in comparison with collective memories. My interviewees did not recall most of historical knowledge which they have obtained from school education without their personal experience nor any special intellectual activity. Oblivion and avoidance against collective memories can be understood as daily docile resistances as well as cognitive autonomy by individuals. Oblivion and self-application of historical knowledge separate individuals from collective memories of their nations. While history education tends to stress a nation’s single continual connection from the past, my interviewees severed fragmentary facts from the recent past and connected them with current issues and personal experiences to explain. This means that historical continuity exists probably only in the logical imagination of historians and history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