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1930년대와 1960년대 모더니즘 소설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과 김승옥의 「서울 1964년 겨울」에 나타나는 소외의 의미를 고찰한다. 소외는 근대화와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비판이라는 인간 정신의 표출로서 등장한 개념이다. 산업화에 따른 개인의 문제를 단절, 소외 등이 주제가 되는 모더니즘으로 읽을 경우 모더니즘과 도시문학에서 소외는 핵심 키워드로 작동한다. 모더니즘 소설에서 개인의 이상 실현을 위한 현실 재현의 갈망이 소외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시간의 흐름은 대상의 재현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이때 재현의 비가역성이 개인을 세계와 분리시키고 대상의 본질을 은폐시킨다. 소외라는 주제는 개인의 물화와 파편화된 의식의 상징으로 작용하고, 의식체계 관계망의 해체와 함께 메타픽션 소설의 특질을 보여준다. 개인의 존재와 세계의 당위가 균열되는 지점에서 질서는 파괴되고, 소외의 결과로 나타난 개인주의적 사고가 의식 체계를 규정하는 세계와의 경계를 해체시킨다. 박태원과 김승옥의 소설에서 소외의 의미는 삶의 본질과 세계 인식 측면에서 공통적인 면을 보인다. 이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를 통해 모더니즘의 제한된 틀에서 소설의 의미를 추출하려는 연구시각 확장의 계기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alienation appearing in the 1930’s and 1960's modernist novels. Park Tae-Won‘s 「One Day of Novelist Gu Bo」 and Kim Seong-Ok's 「1964 Winter in Seoul」. Alienation is a concept that emerged as a manifestation of the human spirit of criticism of modernization and capitalistic societies. When reading individual problems due to industrialization as modernism with the themes of breakages, alienation, they function as key words. Alienation is not a concept that applies exclusively to modernism novels, and it can not be the epitome of urban novel subjects. This paper interest is in modernism and how the novel's problem descriptions reveal the Alienation concepts. In a modernism novel, the desire to reproduce reality in the form of alienation appears, making it impossible to reproduce an object in time. At this time, the irreversibility of the reproduction separates the individual from the world and covers up the essence of the subject. The subject of alienation acts as a symbol of an individual's reification and fragmented consciousness, and together with the deconstruction of network of the consciousness system, shows the hallmarks of a metafiction novel. Where the presence of individuals and the sollen of the world are torn apart, order is destroyed and individualism thought as a result of alienation disarms the world from defining the consciousness. The meaning of alienation from the novels of Park Tae-won and Kim Seong-ok shows a common aspect in the context of the essence of life and world recognition. Through the study of this paper confirmed that it could be a trigger for the study's visual expansion to extract the meaning of the novel from its limited frame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