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참여적 질적 연구방법인 ‘포토보이스(photovoice)’를 활용하여 대학생의 눈으로 인식한 청년의 불안을 파악해 보았다. 포토보이스는 참여자가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처해 있는 상황을 적극적으로 자각하게 되며, 사진을 통해 그 현상에 대한 성찰과 대안을 탐색할 수 있는 연구방법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총 15명의 대학생들을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청년의 불안’이라는 주제로 워크샵을 개최하였다. 총 3회의 워크샵에서 참여자들은 청년의 불안, 불안은 개인적인 것인지?, 사회적인 것인지?, 대학과 청년의 불안, 우리들의 불안을 증폭시키는 관계들, 청년의 빈곤과 취업전쟁, 떠나고 싶은 한국 등의 내용을 도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포토보이스 활동이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사진자료와 심층인터뷰 내용은 포토보이스 분석 절차에 따라 정리되었다. 첫째, 청년들은 자신이 느끼고 있는 불안 때문에 삶이 흔들리고, 회복되지 않는 피로속에서 쉽게 포기해 버리고 싶은 좌절감 속에 놓여있었다. 둘째, 실패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에 대한 불신, 기성세대에 대한 불만으로 불안은 가중되고 있었다. 셋째, 대학을 가던, 취업준비를 하던 어떤 상황이라도 경주마처럼 경쟁을 지속해야 되는 삶에서 살아남기 위해 혼족이 되거나, 연애를 포기하고 단순한 사행성 놀이에 몰입하는 경향도 보여주었다. 넷째, 미래에 대해 참여자들은 한국사회를 떠나고 싶다는 탈출의 심리로 좌절을 보여주면서도, 또 다시 긍정적 희망을 찾아야 한다는 절박함도 표현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사회를 살아가는 청년들의 불안이 얼마나 비정상적이고, 일상적이며, 사회적 영향을 깊게 받고 있는지를 확인하게 되었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청년들이 불안을 중요한 하나의 현상으로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자신과 사회가 어떻게 변화해야 할 것인지를 탐색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함의를 둔다.


The current study uses photovoice, a participatory and quantitative method of research, to understand the anxiety in the youth through the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In the process of activity, participants of photovoice actively recognize their current situation, and can work to reflect on such phenomenon through photos and explore alternatives. The current study selects fifteen college students as participants, who attended a workshop titled “Anxiety in Youth.” In the workshop conducted in a total of three sessions, the participants discussed and drafted conclusions on topics: Anxiety in youth; the private and social aspects of anxiety; anxiety in college and its youths; relationships that amplify our anxiety; youth poverty and the struggle to find a job; wanting to leave Korea. The photovoice activities were executed with the results of the workshop in the background. The collected photos and interview results were organized in accordance with photovoice analysis procedure. First, the study revealed that the youths are in a desperate state, in which their anxiety is shaking the foundations of their lives, and unrecoverable fatigue is making them want to give up. Second, the youths’ anxiety was intensifying due to fear of failure, mistrust for the society, and discontent with older generations. Third, the youths displayed a tendency to become loners, immerse in simple gambling games, and give up intimate relationships in order to survive in a competitive life in which they must continue to run to prepare for college, jobs, and meet other requirements in life. Fourth, while the participants expressed desperation, wanting to leave Korea, they also showed a sense of urgency to find positive hope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e abnormal and daily characteristics of the anxiety in Korean youths, and the degree to which it is influenced by social aspects. The curr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d how youths identify anxiety as an important phenomenon, and how they want to change themselves and the society to overcome their hard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