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19대 대선에서의 공약, 매니페스토, 그리고 이들이 유권자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자료 분석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는 이번 선거는 어느 정도는 진전된 모습을 보였음에도 불구하여 여전히 정책을 중심으로 투표 선택이 이루어지지는 않은 절반의 성공이였음을 보여준다. 전체 분석 대상 공약 중 약 33%가 명확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소한 차이를 보이는 공약은 약 59%로 후보자 간 차별성을 보이는 공약은 전체 분석 대상 공약 중 약 90%에 달하였다. 즉, 유사한 공약들의 남발로 재탕공약, 베끼기 공약들이 다수를 차지하여 비판을 받던 과거의 모습과는 달리 이번 선거에서 후보자들은 어느 정도 높은 수준의 정책적 차이를 가진 공약을 제시하였다. 유권자들 또한 후보자들의 정책적 차이를 인식하고 있어서 정책선거의 주요 조건들이 일정 수준 충족된 선거였다. 그러나, 이번 선거를 절반의 성공이라고 평가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후보자들 간의 정책적 차별성과 이러한 차별성에 대한 유권자 인식이 실제 투표 참여와 후보자 선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분석 결과 때문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lection promises and voting behaviors i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in South Korea. The analysis showed that although this election has progressed to some extent, it still had half the success. Approximately 33% of the total promises analyzed showed a clear difference between major candidates, while about 59% of the promises had a slight difference. That is, about 90% of the election promises showed differences between presidential candidates. Unlike the past, when many of the similar promises have been made, the candidates in this election presented promises with some degree of difference. Furthermore, voters were aware of the policy difference between candidates; however, the policy differentiation between the candidates and the voters' perception of this differentiation did not play an important role in voting participation and candidate sel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