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사고기능의 개인배경변인에 따른 차이와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수도권 대규모 사립 A 대학의 2~4학년 재학생 227명을 대상으로 A 대학에서 자체 개발된 비판적 사고성향 검사를 실시하였고, K-CESA의 종합적 사고력 검사를 통해 비판적 사고기능을 측정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다변량분산분석(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과 개인배경변인군에 학점을 추가적으로 투입하는 위계적 방식의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별 차이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사고성향이 낮았으나 일부 사고기능에는 오히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과 입학유형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전공계열별 차이에서는 대체로 비판적 사고성향은 자연공학계열 학생들이 다소 높은 평균을 보인 반면, 사고기능 점수는 대체로 인문사회계열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여학생들이 실제 자신의 비판적 사고기능에 비해 비판적 사고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고성향은 개인배경변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데 반해 사고기능은 개인배경변인보다는 직전 학기까지의 학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교육학적 함의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college students'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dispositions depending on their individual backgrounds. Method: The sample included 227 college students (second year - fourth year) at A university in Seoul.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A university’ critical thinking skill test and KRIVET's comprehensive thinking function tes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at adds GPA to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students' GPA and admission types. Thir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within-subject effect of majority field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female students perceived lower levels of self-efficacy for critical thinking compared to their real critical thinking skills. In addition, the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 has an effect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while on the other hand, the credit of the previous semester has an effect on critical thinking skills. The detailed results of the study were elaborated in the main text, and related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