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응답표현 「そうです」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설명할 수 없는 예문들이 있는 것에 주목하여 소설의 회화문에서 응답표현 「そうです」의 용례를 수집하여 응답표현 「そうです」가 출현하는 경우들을 고찰한 논문이다. 본고에서는 응답표현 「そうです」의 용례에 선행문에 해당하는 <정보요구문>을 ①전형적인 정보요구문인 <질문문>, ②화자와 청자의 공유정보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문>, ③상대방의 발화에서 불분명한 곳을 되묻는 <되묻는 문>의 3개로 나누고 각각의 분류된 예문을 통해 응답표현 「そうです」가 출현하는 선행문 형식을 고찰하여 응답표현 「そうです」가 사용되는 조건을 명확히 하였다. 조사 결과 응답표현 「そうです」의 출현수는 <확인요구문>, <되묻는 문>, <질문문>의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또한 <질문문>, <확인요구문>, <되묻는 문>의 각각의 특징도 알 수 있었다. 우선 전형적인 정보요구문인 <질문문>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명사술어문과 「のだ」문의 형식인 정보요구문에 응답표현 「そうです」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응답표현 「そうです」의 출현수가 많았던 <확인요구문>과 <되묻는 문>에서는 선행문이 명사술어문이나 「のだ」문의 형식이 아니어도 응답표현 「そうです」가 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조사에 의하여 선행연구의 반례로 나타나는 예는 < 되묻는 문>에 대한 응답인 예가 많다는 것과, 응답표현 「そうです」는 선행문인 정보요구문의 종류에 따라 명사술어문이나 「のだ」문이 아니어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article, we focus on examples of the responding expression soudesu which poses problems for previous studies, and explore the cases where soudesu occurs in the conversational part of Japanese novels. To this end, the information-requesting sentence that precedes soudesu is divided into three types: (i) “question sentence,” a typical type of sentence which seeks for information; (ii) “confirmation-requesting sentence,” a type of sentence which confirms the information shared by the speaker and the hearer; (iii) “echo-question sentence,” a type of sentence which asks about what is unclear in the preceding sentence. For each type of sentence, we analyse the form of the preceding sentence and explicate conditions on the use of soudesu. Our finding is that soudesu was most frequently attested in the type-(ii) sentences, followed by the type-(iii) sentences and then by the type-(i) sentences. Besides, characteristics of each sentence type reveal themselves. First of all, our study echoes previous studies in that for the type-(i) sentences, soudesu occurs as a response to a nominal predicate sentence or a sentence in no-da form. For the type-(ii) and the type-(iii) sentences, however, soudesu frequently occurs even if the preceding sentence involves neither a nominal predicate nor the no-da marker. The present survey shows that counterexamples against previous studies are observed for the type-(iii) sentences and that soudesu may be licensed without a nominal predicate or the no-da marker, depending on the type of information-requesting sent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