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다른 직업에서 교직으로 직업을 변경하고자 교육대학에 입학한 세 명의 예비교사들의 삶의 이야기를 통해 처음의 진로선택과 직업변경, 직업변경 선택 이후의 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들과는 각각 2∼3차의 개별 면담을 실시하여 면담 내용을 녹음하고 전사하였으며, 실습록, 보고서, 편지 등의 기록 자료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범주적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생성된 범주는 다섯 가지였다. 첫째, 처음의 진로를 선택하게 된 요인, 둘째, 첫 직업에 대한 회의, 셋째, 초등교직에 대한 인식의 변화, 넷째, 초등교직에 대한 의미 구성, 다섯째, 자기 자신에 대한 의미 구성이 그것이다. 연구참여자들은 대학 서열이나 직업의 인기, 기업의 규모와 같은 사회적 지위수준을 기준으로 처음의 진로를 결정하였다. 그러나 첫 직업에서의 경험을 통해 일의 의미나 조직에 대한 만족감을 얻지 못하였다. 그들은 자기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직업으로 초등교직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초등교직으로 직업을 변경하는 선택을 하였다. 교육대학에 입학 한 후에는 교직에 대한 열정, 아동에 대한 애정, 책임감 등 초등교직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구성하였다. 이들은 자신의 선택에 대해 만족감과 자신감을 보이며 자기 자신을 자기가 중시하는 가치에 따라 능동적으로 진로를 선택하고 경험을 통해 성장하는 존재로 생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 of career development, constructing teacher identity and meanings about themselves through investigating the life histories of thre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chose to change their jobs. The life histories of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categorical-content approa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y regarded social prestige level as most important value when they chose first careers. Second, from their experiences of first jobs, they could not find the valuable meanings of their works and could not be satisfied with the organizations they belonged to. Third, they realized teaching profession in elementary school could meet their personal values expected from jobs. Forth, after changing career from their first jobs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y constructed new work related identities as teachers. They experienced enthusiasm, responsibility and confidence 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during the period of teacher education process. Fifth, they consider themselves as active agents who decided to change their jobs according to their own values and learn from their experiences to get satisfaction from their career cho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