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1세기로 깊이 들어가면서 평생학습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문학교육평가는 주로 학교교육 단계에서, 문자 텍스트를 자료로 하여, 개별 독자의 이해⋅감상 행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평생학습사회에서는 그보다 확장된 평가가 필요하다. 시간적으로 영⋅유아기부터 노년기까지, 공간적으로 개인 공간에서 사회 공간에 걸쳐, 실천 영역에서 공공 부분⋅민간 부문⋅사적 부문으로 넓게 퍼져 있는 평생학습을 감당하려면 통합적인 문학역량평가를 구안해야 한다. 통합적 문학역량평가는 평생문학학습을 위하여 학습자와 학습 지원 시스템 사이, 텍스트 지향성과 삶⋅문화 지향성 사이의 긴장과 균형을 바탕으로 개인과 사회의 총체적인 문학 역량을 평가하는 기획이다. 이를 통하여 개인의 성장과 사회 발전이라는 교육 일반의 목적에 문학교육이 기여하는 바를 분명히 하고, 생애적 조망 아래 문학교육의 현실태와 이념태를 실제적으로 점검⋅조정하며, 다양한 장(場)에서 이루어지는 문학 학습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생애 전환기를 분기점으로 각 단계마다 학습과 평가의 초점을 달리하면서 문학교육 체제를 정교화하는 근거도 마련할 수 있다. 본고는 이와 관련하여 평생학습의 관점에서 문학교육의 체제와 위상을 점검하고, 장기적인 개인의 성장과 문학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문학역량평가의 방법을 거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평생문학학습 및 문학교육평가에 관한 문제의식을 심화⋅확산할 수 있을 것이다.


Lifelong educ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21st century. Up until now, evaluation of literary education has been performed focusing o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written texts and personal appreciating activities of the reader. However, lifelong education requires new extended concepts to evaluate literary education. From infancy to senescence in time, from individual to society in space, and from public, private, and personal in practice field, lifelong education needs a wide vision and new concept of integrated literary competency evaluation. Integrated literary competency evaluation is designed to evaluate overall literary competency of an individual and society for lifelong literature learning. It is based on the balance and tension between a learner - educational support system and text directivity – life/culture directivity. Through this evaluation, contribution of literary education in general education as in development of each individual and society can be more clarified. Moreover, the ideal and reality of literary education can be diagnosed in a viewpoint of lifelong education, along with meaningful suggestions to improve the range and quality of literary education in each lifetime period. Finally, a logical basis to differentiate foci of learning and evaluating activities by each lifetime period can be prepared, which will eventually improve the entire literary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