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신뢰, 사회적 수용, 사회적 소통이 한국인의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행정연구원의 ‘2016 사회통합실태조사’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여 SPSS를 통해 기초분석 및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로는 가난한 사람들의 복지를 위한 증세 의향을 복지의식으로 정의하였고, 독립변수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월평균 개인소득, 월평균 가구 소득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적 신뢰, 공적 신뢰, 사회적 수용, 사적 소통과 공적 소통이다.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월평균 개인소득이 많을수록 친복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의 경우 사적 신뢰, 공적 신뢰 모두 높을수록 친복지적이었고, 사회적 수용 또한 높을수록 친복지적이었다. 사회적 소통에서는 공적 소통이 높을수록 친복지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사적 소통이 높을수록 친복지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복지의식의 향상을 위해 신뢰, 사회적 수용, 사회적 소통에 대한 관심 증대와 이에 위한 방안 모색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the trust, social acceptance and social communication influence on welfare attitudes. The analysis data for this study is Korea Social Integration Survey(2016)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KIPA) because the survey is most suitable for examining the trust, social acceptance and social communication. The welfare attitude, the dependent variable, is measured by the question asking respondents’s subjective idea on the tax boost for the welfare of the po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Given the social-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higher the age, education level, and monthly average presonal income, the more people are pro-welfare. Trust has a positive influence welfare attitudes. In the case of social acceptance, the more people have social acceptance, the more they are pro-welfare. In the case of communication, the more people have public communication, the more they are pro-welfare. On the other hand, the more people have private communication, the less they are pro-welfare. Discussion and suggestions have been proposed based on the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