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늘날 한국 개신교회의 독특한 신앙생활의 한 양식은 새벽기도라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한국 개신교회의 새벽기도에 대해 여러 사람들이 연구하고자 시 도하였다. 그 중 이말테 박사와 옥성득 박사의 연구가 1909년까지의 한국 개신교 회의 새벽기도를 가장 잘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909년 이후 한국 개신교 회에서 새벽기도가 어떻게 정착의 과정을 거쳤는지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발표 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1909년부터 1930년까지 한국 개신교의 새벽기도를 연구하 는 것은 새로운 시도이다. 1909년 평양에서 새벽기도회가 개교회 프로그램이 된 후 바로 오늘날과 같이 새 벽기도회가 널리 퍼진 것은 아니다. 당시 새벽기도회는 수요 기도회, 주일 예배 등 과 같은 정식 예배의 범주에도 포함되지 않았으며,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한시적 으로 운영이 되었다. 교회의 중요 행사로서 새벽기도회가 받아들여지기까지는 부 흥사경회, 신유의 역할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선교사들이 선교 초기부터 행해왔 던 아침기도도 새벽기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개신교 신문과 선 교사들과 한국 목회자들의 기록을 중심으로 1909년 이후 1930년까지 한국 개신 교에서 새벽기도회가 자리를 잡아가는 과정과 새벽기도의 촉진의 중요한 요인들, 그리고 이 시기 한국교회의 새벽기도의 특징을 다루었다. 즉, 본 논문의 목적은 초기 한국 개신교 자료들을 추적하여 1930년까지의 새벽기도의 모습과 발전과 특징 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We can say dawn prayer meeting is a unique life of faith only in Korean protestant churches today. So some scholars attempted to study These dawn prayers in Korean protestant churches. Among those, the researches of Malte Rhinow and Oak Sung-Deuk seem to study dawn prayers in Korean protestant churches until 1909 well. However until now, There are no researches treating the course of how dawn prayers was settled in Korean protestant churches after 1909. Therefore, to study the dawn prayer from 1909 to 1930 is new trial. The dawn prayer meeting was not disseminated widely at once since 1909 when the church of Pyeongyang accepted dawn prayer meeting as the program of church. In those days, dawn prayer meeting was operated temporarily with special purposes and did not fall into category of formal services such as Wednesday service and Lord’s Day worship. Until dawn prayer was accepted as chief life of faith, bible study for revival and divine healing seem to play a role. The morning prayer that missionaries did in the early days of mission also seems to influence dawn prayer. With early christian newspapers and writings of missionaries and Korean pastors, This thesis treats the course of how dawn prayer meeting was settled in Korean protestant churches, What the main causes for this promotion of dawn prayer are, and what the features of Korean protestant churches’ dawn prayer are from 1909 to 1930. Namel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the a form, development and features of dawn prayer until 1930 by pursuing the early materials of Korean Protestant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