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대는 인성에 대한 의미와 그 교육방법을 찾고 연구하는 것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 특히 불교에서는『법화경』에서 시대와 사람들의 인간상과 세계상을 오탁악세와 말세, 그리고 증상만 등으로 분석하고 상불경보살과 같은 완벽한 인격을 갖춘 이상적인 인간상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천태종의 지의는『마하지관』의 사종삼매 가운데 하나인 법화삼매를 제시하고 특히『법화삼매참의』에서 우리의 마음은 과거에 지은 죄업을 드러내어 참회하지 않는다면 올바른 진리를 증득하기 어렵다고 하면서 10가지로 그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그래서 먼저 몸을 깨끗이 하고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 예불을 올리면서 눈과 귀와 코와 혀와 몸와 마음으로 지은 일체의 죄업을 진심으로 뉘우친다. 그리고 참회를 마치면『법화경』을 독송하면서 법당 안을 돌고 경전의 참뜻을 이해한다. 이후 독송이 마쳐지면 좌선을 하면서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번뇌를 대상으로 관찰하면서 그 번뇌가 연기되어서 공하며 실체가 없다고 파악한다. 이후 자연스럽게 참회와 독송과 좌선으로 긴장된 마음을 차를 끓이면서 편안히 하면서 차를 마시는 것과 좌선을 하는 것이 다른 것이 아니라 하나라는 다선일미(茶禪一味)의 경지를 증득한다. 우리는 이러한 좌선과 차를 마시는 행위를 통하여 선문화적인 탈속으로 탐욕과 화냄과 어리석음의 삼독심으로 부터 벗어나고 세속의 속박과 부자연스러움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리고 마음은 항상 고요한 적정의 경지를 체득하고 일체의 차별적인 세계를 초월한 자유로움을 얻게된다. 또한 부서지고 상실된 인격과 인간성을 회복하고 차를 마시면서 이완되고 성찰하게 되며 모든 것을 비워내는 등의 심리치유가 되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것을 도식화 하면, 참회, 독송, 좌선, 다도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두 번의 실천으로 우리의 업장이 소멸되고 증상만이 없어진다면 좋지만, 사실은 그렇지 못하다. 그러니 일상의 삶속에서 항상 실천하는 모습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e modern time has become an era in which finding, and researching about, the meaning regarding the character of a human being and its educational method have become necessary. Especially, in Buddhism, in the Lotus Sutra, the image of the human being and the image of the world of the era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notions the otakakse (the evil world with five corruptions), the end of the world, the jeungsangman (arrogance about one’s own false awakening), etc. This sutra presents an ideal image of the human being who possesses the perfect personality like the sangbulgyeongbosal. Also, Zhiyi (智顗) of the Tiantai Buddhism presents the beophwasammae, which is one of the four absorptions of the Mo-he chih-kuan (the Great Calmness and Observation). He said that, if our minds do not reveal and repent the sins committed in the past,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proper truths. And he presents 10 different kinds of the methodologies for doing so. Thus, after making the body clean first and while having a Buddhist service for all the Buddhas everywhere, one should sincerely regret all of the sins committed with the eyes, the ears, the nose, the tongue, the body, and the mind. And, once the repentance is finished, while reciting the Lotus Sutra, one goes around the inside of the Buddhist sanctuary, and one understands the true meaning of the scripture. Afterwards, when the reciting is finished, while sitting in meditation, and while observing the anguishes that take place in the body and the mind as one’s own subjects, one understands that, because the anguish is in the causal process, it is empty, there being no essential nature. Afterwards, the truth through the stages of the meditation is recognized as the same truth through the superb-flavored tea, which says that we are to drink the tea, becoming comfortable through relaxing one’s own tense mind by boiling the tea with the same attitudes at the repentance, the recitation, and the sitting in meditation in a natural way. Through such a sitting in meditation and the act of drinking tea, and through the zen-cultural unworldliness, we escape from the three evil mind of greed, anger, and foolishness, and we get around to escaping from the restrictions and the unnaturalness of the mundane world. And the mind always learns about the stage of the quiet calmness and gets around to obtaining the freedom that transcends all of the discriminatory world. Also, it possesses the strong merit of the psychological healing being achieved, including the recovery of the personality and the humanity that have been broken and lost, the emptying of everything during the drinking of the tea, getting relaxed, and the introspection, etc. If such things are schematized, they get materialized in the structure of the repentance, the recitation, the sitting in meditation, and the tea ceremony. It would be good if, through such a practice for a short time, our evil attachments due to our past misdeeds become extinct and their symptoms disappear. The fact, however, is not so simple. We must maintain the perseverance of always putting such an attitude into practice in our everyday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