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서울시 혁신 교육지구에서 실시된 마을 결합형 학교에 관한 본 연구는, 이제껏 ‘혁신’의 이름으로 시행된 모든 교육개혁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무능한 공교육으로 인한 사교육의 확장 혹은 그 반대의 상황이 전혀 개선되지 않았음에 주목한다. 연구자들은 그 이유를 입시위주의 교과중심적 학습과정만이 교육이자 공부로 의미화 되어 온 한국의 교육 현실에서 찾는다. A구에서 실행된 마을 결합형 학교가 이제까지의 혁신처럼 또 다시 ‘실패한 혁신’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마을의 인적 물적 자원이 ‘학교 곁’에서가 아니라 ‘학교 안’에서 정규과정으로 활용되며 교육의 의미를 확장해 내어야 한다. 이를 위해 성급한 혁신안을 시행하기보다는 교육에 관한 구성원들 간 오래고 진지한 공론장이 우선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How can a community-based schooling system (CBS) experiment by the Seoul Office of Education succeed over other innovative educational measures? Researcher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fact that most innovative actions in education have failed because they seldom touch upon the so-called 'constant number' of the test-oriented Kore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public education has continuously been encroached by the private sector. Several empirical recommendations are offered to encourage the success of CBS mushrooming in Seoul and in other cities as well. They include points such as making CBS regular curricula for every student in public schools and encouraging the participation of school teachers and parents in decision-making processes of CBS. Discussions should come before practices, which had previously been vice-versa in realizing innovative educational approaches in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