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중서부지역 원삼국~백제시대의 묘제상을 살펴보는데 있어, 분묘자료의 축적과 연구성과를 통해 다양한 이해의 접근이 이루어졌다. 이 시기 대표적은 묘제로는 단순토광묘, 주구토광묘, 분구묘, 석곽묘, 석실묘 등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형태와 구조 등의 차이를 통해 세부적인 분류도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자료의 축적을 통해 묘제의 연원을 비롯하여, 출현시기, 묘제의 특징과 구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분묘를 조영한 집단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연구성과는 이 시기 정치변화와 사회상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근거로 활용되고 있음은 주목할 만한 대목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제 견해와 자료의 부족 및 새로운 자료의 출현등으로 인해 좀 더 세밀하고 구체화된 이해의 접근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특히 중서부지역 일대기원전·후한 시기부터 2세기 무렵까지의 문화상은 아직까지 구체화 시킬 수 있는 자료가 매우부족한 상황이며, 이 시기를 문화상의 공백지로 표현할 정도로 연구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본고에서는 앞서 언급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최근 2세기 중반 이후로 편년되는 분묘자료가 점차증가함에 따라 관련 자료에 대한 검토와 함께 그 변화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이 시기 대표적인 분묘자료인 주구토광묘의 인식과 주구토광묘 등장 이전의 선행 묘제에대한 시론적인 접근을 시도해 보았다. 이를 통해 주구토광묘 등장 이전 선행 묘제에 대한 접근을주구토광묘의 특징 중 외형의 표식에 주목하여 토광묘와 봉토묘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Ⅳ장에서는 주구토광묘 등장기 변화상을 토광묘 단순기, 주구토광묘 등장기, 주구토광묘 확산기로 세분하여 각 시기별 묘제상의 특징과 유물부장양상의 변화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To explore the tomb style within the Midwest area of Korea in the period between the Proto-Three Kingdoms and the Baekjae Period, various approaches of comprehension took place through the accumulation of the graveyard materials and the achievement of research. The typical tomb types of this period were simple togwangmyos, Jugu-Togwangmyo, bungumyos, stone-lined tombs, stone-chambered tombs, etc., and more specific categorization is also possible according to their forms and structures. And with the accumulation of these materials, the studies on the origin of the tomb types, the time of their emergence, and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the tombs types as well are conducted, and research is continuously carried out on the communities who had created the graveyards. The fact that the product of the different types of research is used as critical evidence to grasp the dynamics of political change and the society of the time is worth of notice. Despite the academic accomplishment, more thorough and minute methods of approach are needed due to my multiple views on the subject, the lack of sources and the emergence of new materials. Particularly, it lacks the sufficient sources for the cultural style of the period between the Later Han Dynasty before the Common Era and the 2nd century, taken place in the whole Midwest area, to take concrete shape, and, it is even regarded to have almost no accomplishment of research on the cultural style of this period. Thus, this paper examines the graveyard materials that have been recorded chronologically since the mid- 2nd century and explores their change, based on the aforementioned limitations. A preliminary approach to the tomb types that came before the emergence of JuguTogwangmyo and the representative materials for graveyards of this period was attempted. The approach to the preceding tomb types was focused on their external characteristics, and it seems the most appropriate that they are identified as togwangmyos and bongtomyos. On chapter 4, the stages of change in the emergence period of Jugu-togwangmyo is divided into the simple togwangmyo period, the emergence period of Jugu-togwangmyo and the spread period of Jugu-togwangmyo, and it thoroughl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tomb styles by period, and the change in the tomb furnish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