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의 목적은 책문의 글쓰기 전략을 살피고 그것을 글쓰기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대학의 교양교육은 학생들의 역량을 길러주는 실용성을 갖추어야 할 필요가 있다. 글쓰기 교과목은 학생들이 ‘글쓰기’ 과정을 통해 문제해결을 위한 사유 능력, 문제해결력, 표현력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의사소통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특히 글쓰기가 의사소통의 한 방편이라면 소통의 맥락 속에서 어떤 내용을 어떻게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무엇을 어떻게 서술하느냐가 중요하다. 대책문 이러한 필요에 적합한 텍스트이다. 책문(策問)에 대한 꼼꼼한 읽기와 분석이 먼저 수행되고 문제의 의도와 부합하도록 답안을 작성해야한다. 따라서 책문의 읽기 및 쓰기 전략은 읽기 및 쓰기의 연계적 수업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대책문은 문제를 제출한 이의 의도를 적확하게 이해하고 그에 부응하는 답변을 해야 한다. 대책문 작성 방안으로는 독자인 책문자(策問者)와 필자인 대책자(對策者)의 위상(位相)을 적절하게 설정하기, 두괄식 및 수미쌍괄식으로 쓰기, 축조적 응답을 통한 핵심 주제 구축-질문마다 답변하기-, 비유를 통한 유추활동 유도하기, 장르의 쓰기 관습 준수하기 등이 있다. 이러한 방안은 대책문을 살피는 단계, 실제 글쓰기에 활용하는 단계로 나누어 활용할 수 있다. 책문과 대책을 읽고 출제 의도 및 출제자가 요구하는 답변 내용 추론하기, 그에 부응한 서술 전략을 살피기 등이다. 이를 실제 수업에서 수행하는 글쓰기에 적용하는 단계에서는, 주어진 문제-질문의 의도 파악하기, 그에 부합하는 내용을 상정하고 질문자의 의도에 맞거나 질문자를 설득할 수 있는 전략을 선별하도록 한다. 여러 단계를 거치지만 대책문의 쓰기 전략을 먼저 충분히 익힘으로써 향후 논리적이고 설득적인 글을 쓰기 위한 학생 자신만의 전략으로 만들어가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aekmun’s writing strategies and search for was to implement them in a writing class.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is necessary as it develops students’ competence. A writing course should allow students to improve the thinking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and expressive skills for problem-solving through the writing process, and ultimately reinforce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In particular, if writing is a method of communicat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ntents in their context, and describe exactly what they are based on. Daechaekmun is an appropriate text for such needs. Careful reading and analysis should be carried out in advance, and answers should be given in accordance to the intention of the question. Therefore, the reading and writing strategies of Daechaekmun are suitable for the interconnecting clas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Daechaekmun should understand the exam writers’ intentions and give answers to those in need of them. A writing strategy for Daechaekmun is as follows: setting the proper status of Chaekmunja as a reader and Daechaekja as a writer, writing in deductive reasoning and first-to-end connecting (having a theme repeated at the beginning and ending) styles, building a main idea through constructive responses, answering to each question, inferring through a metaphor, and following the conventions of writing genres. These strategies are applied to the reading and writing steps. The reading step includes reading Chaekmun and Daechaeck, and inferring the intention of the questions and answers demanded by the exam writers. The writing step applied to the real class consists of identifying the given questions-the question intention, propos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selecting the strategies matched with the exam writer’s intention. By engaging in these multiple steps, students have the opportunity to improve their own writing strategies for future logical and persuasive writing after they have learnt the writing strategy of Daechaekm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