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시각 문제로 인해 특수교육 지원이 필요한 학생을 조기에 발견하여 심층적인 진단평가에 의뢰하기 위해 개발된 시각장애학생 선별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 기준 점수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1차적으로 선행연구와 기존 검사 도구를 분석 한 후 선별검사 문항의 시안을 제작하였으며, 시각장애 전문가와 특수교육지원센터, 현장 교사의 내용 적절성, 용이성 등의 검토를 통해 문항을 수정·보완하였다. 수정·보완된 문항은 시각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담당 교사 158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신뢰도와 타당도 및 선별검사의 문항과 기준점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선별검사의 1차 시안으로 제작된 20개의 문항 중 3개 문항이 삭제된 경우에 본 평가도구의 내적 일관성 계수는 .956로 나타났으며, 이는 본 선별검사가 시각장애학생을 일관성 있게 평가하는 매우 신뢰로운 척도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문항 변별도를 알아보기 위해 시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집단의 문항 통과율을 분석하였으며, 시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집단 간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내적 일관성 계수와 마찬가지로 문항 통과율이 낮은 3개의 문항을 제거한 결과, 모든 문항은 시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집단을 잘 구별하여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별 검사의 민감도(sensitivity)를 높일 수 있는 선별검사의 기준 점수를 14점으로 확정하였다. 기준 점수가 14점인 경우의 판별의 민감도는 88.2%이고, 정확도는 94.8%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본 선별도구 사용의 유의점 및 제한점, 향후 방향성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reening test for objectively assessing the visual impairment of students with visual disabilities by early detection of students who need special education support due to visual problems. For this purpose, the items of the screening test were firstly analyzed after analyzing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existing test tools, and the items were revised through reviewing the appropriateness and ease of contents of the blind experts. The corrected and supplemented items were verified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158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and general children. Finally, the items and the control points of the screening test were confirmed.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cut-off score for the screening test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letion of three items from the first census of this screening test showed that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of the screening test was .956, indicating that this screening test was consistent Second, in this study, the item passing rate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non-disabled students was analyzed and the t-test was conducted between the visually impaired and non-disabled stud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showed that 17 item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Third, the criterion score of the screening test which can increase the sensitivity of the screening test was determined to be 14 points. The sensitivity of discrimination when the reference score was 14 points was 88.2% and the accuracy was 94.8%.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and limitations of using this screening tool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