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동사는 의미적 조직화 차원에서 명사와는 다른 구조를 갖고 있어 좀 더 복잡한 처리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신경언어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평가에서 좀 더 민감도가 높은 이름대기 과제로 손꼽힌다. 그러나검사 자극어 선정에 대한 논의가 아직 미흡하고, 동작어임에도 불구하고 자극 제시 방법은 일차원적인 그림형태이기 때문에 이러한 동사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어떠한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아직도 진행 중에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신경언어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동사 이름대기 평가 및 재활에서 고려되어야 할변수를 파악하기 위해 먼저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한 동사 이름대기 과제를 실시하고, 연령과 교육년수, 어휘빈도, 명명일치도, 어휘습득연령이 동사 이름대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결과: 연구 결과에 따르면, 노화 과정에서 연령이 높아질수록(50, 60대>70대), 저빈도 어휘일수록, 그리고 명명일치도가 낮을수록 동사 이름대기 과제에서의 수행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교육년수와 어휘습득연령은 정상 성인의 동사이름대기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정상 성인의 동사 이름대기 수행은 해당 자극어가 갖고 있는 기본 속성이나 자극 제시 유형에 따라 뇌활성화 및 인출능력의 차이를 야기한다. 이때 연령, 어휘빈도 및 명명일치도 변수는 유의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얻은위 결과는 신경언어장애 환자의 감별진단과 중재 장면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Since verbs have a different structure compared to nouns in terms of semantic organization and undergo relatively more complex processing, they are depicted as a highly sensitive naming task in the clinical assessment of patients with neurological communication disorder. However, as a discussion on the selection of test targets is inadequate and the stimulation method is in the form of one-dimensional pictures, despite the fact that they are action words, a discussion of factors that affect verb retrieval is still under way. Methods: To identify the variables to be considered in the verb naming test and the rehabilitation of normal healthy people and patients with neurological communication disorder, this study carried out a verb naming test on normal healthy adults in their 50s through 70s. The effects of age, years of education, lexical frequency, name agreement, and age of acquisition on verb naming were investigated.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bility to perform verb naming tasks decreased with increasing age in the aging process (50s, 60s>70s), lower frequency of words, and lower name agreement. On the other hand, years of education and age of word acquisition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verb naming ability of subjects. Conclusions: Normal healthy adults performing verb naming show a difference in brain activity and retrieval ability according to basic properties and stimulus presentation type of the respective target word. Variables like age, frequency of word and name agreement must be taken into account. The results obtained from Korean adults can be useful for differential diagnosis and intervention of patients with neurological communication disor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