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교수‧학습 역량 우수 일반고의 프로그램 특징과 발전 방안을 탐색하고, 일반고 교육과정 실행의 질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되었으며, 문헌 분석, 심층 면담, 참여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교수‧학습 역량 우수 일반고 프로그램의 특징을 학생 참여형 수업, 학습코칭, 학습동아리,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방과후학교의 다섯 영역으로 유목화하여 제시하였다. 발전 방안에 대한 의견으로서 첫째, 학생 참여형 수업에 대해 과정형 평가 관련 지원, 예산 활용의 유연성이 논의되었다. 둘째, 학습코칭에 대해 학습코칭 기법에 대한 연수 확대, 소수 그룹 운영과 학교 외부 기관 활용이 가능한 수준의 재정 지원이 제시되었다. 셋째, 학습동아리에 대해 동아리 개설 및 운영 관련 규정 제정, 외부 전문가 초빙, 활동 공간 확보가 제안되었다. 넷째,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에 대해 교육부나 시‧도교육청 차원의 프로그램 매뉴얼 개발 및 배포, 지역교육청별 전문가 배치, 교사 연수 프로그램 확대가 도출되었다. 다섯째, 방과후학교에 대해 수강료 면제 및 자유수강권 제도 수혜 범위 확대, 방과후학교 프로그램만의 독창성 확보가 논의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일반고 교육과정 실행의 질 제고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in selected general high schools.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us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relative documents,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Results were as follows. Characteristics of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in selected general high schools were categorized into five factors. First, educators presented support on students with lower participation rate, process-based evaluation, and flexible budget to promote student-participatory classes. Second, they listed mor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budget support on small groups, and part-time instructors to improve learning coaching. Third, educators mentioned strict regulations, part-time instructors, and more space for learning circles. Fourth, participants suggested the program manual, specialists in school district office, and mor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to upgrade the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Fifth, educators listed free and reduced tuition programs and ensuring originality to advance after-school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