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학생의 자기몰입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를 정서변별 어려움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 확인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구 지역 중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자기초점주의 성향 척도, 한국판 청소년 정서인식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질문지, 한국형 대인관계 문제검사 단축형을 실시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참여자를 제외한 231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에서 대인관계 문제로 이르는 경로를 제외한 모든 경로가 유의하였다. 또한 정서변별 어려움은 자기몰입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자기몰입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정서변별 능력의 부족은 정서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저해하여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동원하게 할 뿐만 아니라 타인의 정서와 욕구를 추론하는 것을 방해하여 대인관계 문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정서 처리에 있어 정서변별은 핵심적인 요소로서, 그 기능과 역할 및 정서변별 증대를 위한 개입효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다루고 추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ain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difficulty in emotional differenti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s noted and identified in relationship between self-absorp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re were 300 middle school students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who completed the testing which was the Scale for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in Social situation, Korean Version of Emotional Awareness Questionnaire for adolesc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and short form of the Korea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 Circumplex Scales. Accordingly, the participants who did not report questionnaire faithfully excluded from the analyses, and thus the path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s with the 231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results, every path was noted to have been significant, except for one which was noted in relation to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Chief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iculty in emotional differentiation is partially mediated not only through the relation of self-absorp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but also is seen in the relation of self-absorp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Last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