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돈황유서에 현존하는 신라 승려의 저작으로는 최소 네 가지가 있는데, 바로 혜초(惠超)의 『왕오천축국전』, 원효(元曉)의 『대승기신론소』, 원측(圓測)의 『심경략찬』, 의적(義寂)의 『보살계본소』이다. 본 논문은 S. 2500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S. 2500이 현존하는 의적의 『보살계본소』의 가장 이른 텍스트이며, S. 2500의 문자가 대정장본의 의적소와는 차이가 커서 다른 텍스트 계통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돈황본 계통의 성립 시기는 기원 후 702년보다 이르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보여주었다. 의적은 입당한 경력이 있고, 의상의 제자였을 뿐만 아니라 현장의 문인이기도 했다. 『보살계본소』, 『유식미상결』 등의 의적 저작은 모두 중국으로 전래되었는데, 『보살계본소』는 지의나 원효의 뒤를 잇는 동류의 저작이며, 『범망경』의 주석사에서 선대와 후대에 연결했던 중요한 문헌 가치를 지닌다. S. 2500의 발견은 의적소의 텍스트 정리와 연구에 새로운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중한 양국 불교의 우호적인 교류에 물증을 제공한다. 논문의 끝부분에서는 신라 원측의 『해심밀경소』가 돈황불교에 미친 영향을 논하였다.


Four works of the monks from Silla have survived in the Dunhuang Manuscripts: Hyecho’s Records of the Five Regions of India, Wonhyo’s Commentary on the Treatise on 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 and Uijeok’s Commentary on the Bodhisattva Precepts Manual. This paper deals preliminarily with the last of the four, which has been labeled S2500 in the British collection of the Dunhuang Manuscripts. It highlights that manuscript S2500 is the earliest text of Uijeok’s Commentary and is so different from that included in the Taisho Canon that it seems to have been a different version, which cannot date earlier than 702. Uijeok studied and lived in Tang China. He was a disciple of Uisang and a student of Xuanzang. Both the work under discussion and his Answers to the Unanswered Questions on the Mind-Only Teaching have found a way into China. The former is similar to a kind of work found in the writings of Zhiyi and Wonhyo and, therefore, connects the early and late in the commentarial history of the Fanwang jing, and has great value in the textual tradition. The discovery of the S2500 not only contributes to the study and collation of Uijeok’s Commentary but is also testament to friendly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Buddhists. The paper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 influence of Woncheuk’s Commentary on the Saṃdhinirmocana-sūtra on Buddhism in Dunhu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