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에서는 사회학의 관점에서 사회정의의 문제에 접근하고 있다. 사회정의에 대한 신학적인 규명이 기독교인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것은 분명하지만, 기독교 문화권이 아닌 우리 사회에서 보편적인 설득력을 갖기 어렵다. 또한 기독교인들조차도 성서의 가르침을 몰라서 부정을 행하는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특정한 사회의 맥락에서 행위하는 개인들이 어떤 기제에 의해 움직이고 스스로의 행위에 의미를 부여하는가 하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기독교 중심의 사고를 넘어서 우리 사회에서 보편적으로 논의될 수 있는 사회정의에 대한 논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에서는 오늘날 다양한 지향성을 가진 개인들의 활동 공간인 시민사회의 영역에서 정의의 문제를 논의한다. 특히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정의의 한 측면으로서 시민 연대에 주목하였다. 시민사회 안에서의 시민은 정치적, 종교적, 사적으로 다양한 자발적 결사체를 형성하고 동료들과 신뢰 관계를 형성하며, 공동의 이익을 대변하고 서로 도움을 나눔으로써 사회적 연대를 쌓아 나갈 수 있다. 연대성은 사회구성원들에게 그들이 공유하는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양보와 희생을 요구하는데, 이때 필연적으로 재분배가 발생하기 때문에 정의의 문제와 직결된다. 특히 현대의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의(재분배)와 연대가 모두 필요하다. 여기에 종교의 역할이 중요하다. 일찍이 에밀 뒤르케임은 종교의 사회적 통합 기능에 주목하였으며, 로버트 벨라는 루소로부터 시작하여 뒤르케임에 이르러 이론화된 사회학적 사고를 새롭게 활용하여 시민사회의 종교 차원을 논의하였다. 이 시민 종교는 시민사회에 어울리면서 시민사회를 떠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교회 역시 시민사회 영역에 속하고 있고 교회를 통한 종교 활동은 시민의 참여를 촉진하는 사회 자본의 한 형태가 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교회 소그룹을 통해서 계발되는 인간관계는 시민 조직에 참여하는 데 필요한 사회 자본을 형성하고, 지원 집단이나 공동 작업에 필요한 연결망을 발전시키게 된다. 또한 시민 연대의 하나의 사례로 지역 공동체 운동에 교회가 참여함으로써 우리 사회에서 정의를 세우고 실현하는 공공 종교로서의 역할을 다하게 될 것이다.


This paper approaches the issues of social justice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Although it is true that the theological verification of social justice is very important to the Christians, in our society where Christian culture is not the norm, such a point has very little meaning. Even the Christians are not acting unjustly because they do not know the teachings of the Bible. What is important is to understand by what mechanism the individuals in a specific social context function and apply meaning to one’s own actions, and the effects thereof. Thus, there is a need for us to develop a theory on social justice that can be discussed generally in our society, beyond Christian-centered focus. As such, this paper discusses the issues of justice from the realm of civil society which is the ground for individuals with various interests. Especially, attention is given to recently debated, social solidarity as an aspect of justice. Citizens within civil society build social solidarity by forming various interest groups through political, religious, and personal means, establishing trust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advocating for common benefit and assisting one another. Solidarity requires voluntary compromise and sacrifice among the member in order to achieve a common goal. Because redistribution is inevitable at this time they are directly connected. Especial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modern society, both justice (redistribution) and solidarity is necessary. Here, the role of religion is important. From early on, Durkheim focused on the social unifying role of religion, and Bellah discussed about the religious realm of civil society newly utilizing the social thinking theorized from Rousseau to Durkeim. This civil religion mingles with civil society and functions to faithfully serve the civic society. Church also belongs to the realm of civil society, and religious activities through church become a form of social resource stimulating participation by the citizens. Specifically, relationships developed through church small groups form social resources necessary for participation in civic organization and develop networking necessary in groups and common tasks. Also, as an example of civil solidarity, church, by participating in the local community movement, will uphold justice in our society and fulfill the role of public reli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