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변화하는 장애아동의 보육환경 속에서 장애통합 어린이집의 일반 보육교사가 장애인식개선교육을 전후로 어떻게 장애인식 및 장애아 보육실천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인천시의 국공립 장애통합 어린이집 일반 보육교사 9명이었고, 3인씩 3그룹의 포커스면담 및 개별 면담을 통해 경험을 듣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반보육교사들은 장애인식개선교육 전에 장애아동에 대한 무지함과 막막함, 두려움을 호소하였고, 오히려 비장애아동의 편견 없는 태도로부터 배우기도 하였다. 장애아동에 대한 이해의 필요와 지식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장애인식개선교육에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교육에 참여한 이후 교사들은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변화 및 보육실천의 방식변화를 나타냈다. 인식과 관련해서는 교사들은 장애아동을 더 이해하고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비장애아동과 대등하게 대하고자 노력하게 되었다. 보육실천과 관련해서는 비장애아동과 장애아동 모두와 협력적 파트너쉽을 통해서 함께 통합프로그램을 실천하였고, 비장애아동에게 장애이해 교육을 제공하기도 하였고, 상황에 따라서 부분적 통합보육을 탄력적으로 실시하는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보육현장에서 장애인식개선교육과 관련한 일반 보육교사의 경험에 대하여 해석하고 논의하였으며 장애인식개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heir recognition and childcare practice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for disability awareness targeting class teachers in inclusive childcare setting.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 teachers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 focus group (3 persons per group) and personal interviews in case of study nee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ildcare teachers appealed ignorance and fea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efore learning to improve their disability awareness, and have learned from the non-prejudiced attitudes of non-disabled children. The need for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high, and they voluntarily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disability awareness. Since participating in education, teachers have shown changes in perception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hanges in the way they practice childcare for disabled children. As regards cognition, teachers have become more interested in and understanding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have tried to treat them equally with non-disabled children. Regarding the practice of childcare, they practiced the integrated program together with the non-disabled child and the disabled child through cooperative partnership. They also provided the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o the non-disabled children and provided the partial integrated childcare program flexibly in one class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and discussed about the general childcare teachers' experience related to the education for improving disability recognition and caring at childcare set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