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말레이시아의 도덕교육과 한국의 도덕교육을 비교하여 도덕과 교육의 목표의 실효성 개선의 쟁점과 그 대응의 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한국과 말레이시아 모두 세계화 다문화의 시대적 변화에 직면하여 도덕과 교육의 실효성을 개선하려는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양국의 도덕과 교육과정을 다문화 사회의 도덕과 실효성의 관점에서 도덕과 교육을 둘러싼 쟁점과 대응을 분석하고 어떻게 공식적인 국가 교육과정을 개선하며 대응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다문화 사회인 말레이시아는 사회 통합을 위해 1983년 이래 핵심교과로서 도덕교육을 시행해왔지만, 과도한 인지주의와 도덕과 평가에 대한 불만이 제기되었다. 이에 세 차례의 교육과정을 개정하며 교과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도를 높이고 교실 밖의 도덕교육 프로젝트를 신설하고 도덕과 평가를 개선해왔다. 한국 역시 1995년 학교폭력 문제로 등장한 도덕과 교육의 실효성 비판이 제기되면서 주제 중심 교육과정으로 교육과정을 개혁하여 학년 간 내용중복 문제를 개선하고 인성교육의 핵심교과로서의 도덕과 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다문화 사회의 시대변화의 요구를 수용하여 다문화 교육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양국의 사회 정치적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여 양국의 도덕교육의 실효성 과제와 대응방안을 살펴보며 도덕과 교육의 시사점을 모색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issues of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moral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ies and their achievements by comparing moral education in Malaysia and moral education in Korea. The criticism of morality an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was a challenge for both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of both coun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morality and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society. Malaysia, a multicultural society, has been conducting moral education since 1983 as a core curriculum for social integration, but complained about excessive cognitive and moral evaluation. Therefore, three curriculums have been revised to increase the interest of learners to the curriculum, to establish a moral education project outside the classroom, and to improve moral assessment. In Korea, as a result of criticizing the effectiveness of moral education which appeared as a school violence problem in 1995, it reformed the curriculum as a subject-oriented curriculum to improve the content duplication problem between grade levels and establish the identity of moral education as a core curriculum of personality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was implemented by accepting the demands of the changing times of multicultural society. Considering the socio - political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countries, I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moral education and countermeasures of both countries and sought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