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교사의 행복감과 교수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매개하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조사 7차 년도(2014년) 데이터 중 1,200명의 유아 담임교사가 응답한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행복감 모두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의 행복감과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사와 유아간의 상호작용도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와 유아 간의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도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행복감과 교수효능감 모두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매개하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교사의 행복감이 높고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사와 유아 간의 상호작용이 많아지고 이러한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은 결과적으로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높이게 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preschool teachers' happiness and self-efficacy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t also examined the mediating influence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on these relationships. This study performed SEM analysis on 1,200 preschool teachers' survey responses from the 2014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elf-efficacy and happiness influenced teacher-child interactions. Second, teacher-child interaction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ird, teachers' self-efficacy and happiness not only directly influenced teacher-child interactions but also influence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rough teacher-child interactions. The paper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of the influence of preschool teachers' happiness and self-efficacy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mediated by teacher-child inter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