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반생산적 과업행동의 가장 약한 형태의 행위로써 ‘낮은 강도의 일탈행위로써 피해자를 해하려는 모호한 의도를 가지고, 조직 내 상호존중이라는 규범을 어기는 것으로 무례함, 예의 없음, 배려의 부족을 포함하는 개념인 조직 내 무례함과, 이에 대한 반응으로, ‘타인이 자신에 대해 갖게 되는 이미지를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행동’으로 ‘의도된 결과를 얻기 위해 이해관계자들에게 바람직한 이미지를 형성하고자 할 때 주로 이용’하는 행위인 인상관리행동을 설명하고자 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조직 내 무례함과 인상관리행동은 대인관계나 집단행동과 같은 조직학적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경찰조직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무하였다는 상황 인식에서 출발하여 경찰공무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내 무례함과 이에 대한 반응행동으로서의 인상관리행동을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측정하고, 경찰공무원의 조직 내 무례함 경험이 인상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상관의 무례함이 인상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비위맞추기’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모범행동보이기’와 ‘간청’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동료 및 부하의 무례함이 인상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역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반생산적 과업행동의 가장 약한 형태의 행위로써 ‘낮은 강도의 일탈행위로써 피해자를 해하려는 모호한 의도를 가지고, 조직 내 상호존중이라는 규범을 어기는 것으로 무례함, 예의 없음, 배려의 부족을 포함하는 개념인 조직 내 무례함과, 이에 대한 반응으로, ‘타인이 자신에 대해 갖게 되는 이미지를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행동’으로 ‘의도된 결과를 얻기 위해 이해관계자들에게 바람직한 이미지를 형성하고자 할 때 주로 이용’하는 행위인 인상관리행동을 설명하고자 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조직 내 무례함과 인상관리행동은 대인관계나 집단행동과 같은 조직학적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경찰조직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무하였다는 상황 인식에서 출발하여 경찰공무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내 무례함과 이에 대한 반응행동으로서의 인상관리행동을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측정하고, 경찰공무원의 조직 내 무례함 경험이 인상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상관의 무례함이 인상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비위맞추기’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모범행동보이기’와 ‘간청’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동료 및 부하의 무례함이 인상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역시 같은 결과로 나타났다. 영향력은 ‘간청’ > ‘비위맞추기’ > ‘모범행동보이기’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관의 무례함보다는 동료 및 부하의 무례함이 인상관리 행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경찰조직과 조직관리 차원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e officer’s workplace incivility experience and impression management, The police officers’ perception on the workplace incivility experience has been measured, and then how their perception on the workplace incivility experience affects the impression management has been examined. For the purpose, this study, the literature on workplace incivility has been reviewed and with particular emphasis on associated conceptual issues. in chapter 2, presents an overview of research that has assessed the ability to impression management on the basis of perceived police officer’s workplace incivility experience. in chapter 3 and 4, deals with the empirical relationships between police officer’s workplace incivility experience, impression management. This study aimed at measuring the effects of police officer’s workplace incivility experience and impression management. By reviewing previous finding, police officer’s workplace incivility experience(Superior incivility, Colleagues and subordinates incivility)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impression management (Self-promotion, Ingratiation, Exemplification, Supplication) was selected as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superior incivility & colleagues and subordinates incivility influenced in ‘ingratiation’(Negative), and influenced in ‘exemplification’, ‘supplication’(Positive). Police officer’s workplace incivility experience affects the impression management (supplication > ingratiation > exempl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