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영국의 ‘국가교육과정평가(National Curriculum Test: NCT)’의 역사적 발전 과정과 개정된 평가 체제를 분석하여 한국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재구조화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NCT의 제도적 변화 과정을 통시적 관점에서, 2016년부터 새롭게 실시된 NCT 체제를 평가 구성 요소 측면의 공시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영국의 NCT는 국가교육과정과 학교 책무성 정책과 긴밀히 연동되어 발전되어 왔으며 특히 책무성 목적을 위한 NCT의 활용이 지속적으로 강화되어 왔다. 다음으로 개정 NCT는 PISA와 연계한 평가 문항이 구안되었고 초등학령 문해력과 수해력을 강조한 평가로 전환되었음이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NCT의 도구적 성격과 평가 결과 공표 방법에 대한 지속적 개선이 이루어졌으며 학교 간 협력을 위한 정책 기제로서의 활용이 확대된 특징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목적을 재정립하고 평가 목적에 부합하는 체제로의 재구조화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또한 역량중심 평가로의 전환을 위해 다양한 평가 도구 활용을 모색하고 국제학업성취도 평가와 연계한 평가 문항의 구안 필요성과 학생 표집 방법 변화에 따른 평가 실시 시기의 조정안을 제언하였다. 끝으로 교실평가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평정 체제를 일치시켜 고교 내신의 타당성 점검 및 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과 단위학교의 자가 평가를 위해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study is to analyzing ‘National Curriculum Test(NCT)’ in England and find implications for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in the Republic of Korea. Considering the procedures and contexts of the reform in NCT since 1988, this study analyzes the assessment framework and its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NCT: firstly, the purpose of holding schools and teachers to account has been emphasized, even though there are the various assessment purpose, such as recognizing levels of pupil achievement on a standardized basis, promoting pupil’s achievement level monitoring the quality of education. Secondly, new NCT is developed in line with 2013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in alignment with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Moreover, the scope of new NCT assesses literacy and numeracy in the key stage 1 and 2 more rigorous way. Thirdly, new NCT provides teachers with the specialized skills required to utilize test results and linked with developing assessment literacy effectively. Lastly, not merely for school accountability but for school improvement, new NCT will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to inform school policy and ascertain the effects of education policy in the context of evidence-based educational policy.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for reorganizing NAEA in terms of purpose of assessment, test design, test subjects and frequency and timing of testing, reporting and the use of test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