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부모의 차별적 양육을 형제가 공유하는 양육환경으로 개념화 하여 부모의 차별의 방향(상대적 평가)과 상관없이 부모의 차별양육정도가 심할수록(절대적 평가) 선호되거나 차별받는 형제 모두의 자존감에 부정적이며 이를 거부민감성이 매개할 것이라 가정하였다. 형제가 지각한 부모의 차별적 양육을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형제를 쌍으로 모집하였고 총 16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 64쌍(128명)은 양측형제 모두가 설문에 참여하였다. 부모의 차별적 양육의 상대적 평가와 절대적 평가와 형제의 자존감과 거부 민감성과의 관계는 상관 분석과 각 형제 쌍을 차별 점수에 따라 비교하여 ‘선호집단’과 ‘차별집단’으로 구분하고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차별적 양육의 상대적 평가는 형제의 자존감과 거부민감성과 유의한 상관이 없었던 반면 절대적 평가는 형제의 자존감과 거부민감성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즉, 가족 내에 형제에 대한 차별이 많이 존재할수록 형제는 누가 선호되고 차별받는지에 상관없이 양쪽 다 낮은 자존감과 높은 거부민감성을 보였다. 또한 선호집단 형제와 차별집단 형제의 자존감과 거부민감성의 평균은 유의하게 다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공유된 환경으로써 형제가 지각한 차별적 양육행동과 자존감 간의 관계를 거부민감성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구조모형 검증 결과, 절대적으로 평가된 차별적 양육행동은 형제의 자존감을 부적으로 예측하였고 이 관계를 거부민감성이 완전매개하였다. 공유된 환경으로써 부모의 차별이 형제의 사회심리적 발달에 갖는 함의를 논의에 포함하였다.


In this paper, we conceptualized parental favoritism in the shared environment of siblings. We hypothesized that siblings’ self-esteem would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perceived parental favoritism regardless of the directions of favoritism. Furthermore, we hypothesized that rejection sensitivity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favoritism and siblings’ self-esteem. A total of 169 sibling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ran correlational analyses among relative scores and absolute scores of parental favoritism, self-esteem, and rejection sensitivity. We also performed a paired t test between the “favored group” and the “non-favored group”. We found that absolute scores of parental favoritism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iblings’ self-esteem and rejection sensitivity. However, relative scores of parental favoritism were not. In other words, both siblings showed lower self-esteem and higher rejection sensitivity when they perceived more parental favoritism regardless of the directions of favoritism within the fami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avored group and the non-favored group in terms of self-esteem and rejection sensitivity. The final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rejection sensitiv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bsolute scores of parental favoritism and siblings’ self-esteem. We discuss implications of parental favoritism in the shared environment of siblings on their psycho-social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