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산업계의 수요에 조응할 수 있는 대학 교양교육 개선 방향 모색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과거와 달리 경쟁보다는 협력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대학의 교육 역시 협력에 기초한 창의 역량의 교육을 지향해야 한다는 가설을 제기하였다. 이것을 입증하기 위해 본 논문은 산업계와 교육계의 전문가 의견 조사를 통해 기존의 역량 지표를 검토하고, 그 결과를 산업계 수요 조사를 통해 재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우리가 제시하고자 하는 결론은 다음이다: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고 있는 산업계 역시 협력 또는 협력적 창의 능력들을 중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전문지식들이 융합될 수 있는 교육 공간이 대학교육과정 내에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간의 핵심이 바로 교양영역이며, 따라서 대학 교양교육은 다양한 전공지식들이 협력할 수 있는 지식확장을 위한 플랫폼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 방향으로의 교육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paper is aimed at finding ways to improve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that can meet the demands of the industr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emphasizes the necessity of cooperation rather than competition to cope with the trend of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uggests that the education of universities should also aim to educate creative competence based on cooperation. To demonstrate this, this paper reviewed existing competency indicators through gathering the opinions of corporate and educational experts, and reaffirmed the results of the review through the survey of the corporate demands. Corporations preparing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lso place emphasis on abilities based on cooperation. In order to help cultivate these abilities, universities should be equipped with an educational area where various expertises can be converged and harmonized. The center of this area is liberal arts education. In this sense,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should be understood as a platform for expanding knowledge that could incorporate various contents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be the top priority concern of the educational development p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