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위험회피 기질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걱정과 파국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경기에 소재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43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위험회피 기질, 걱정, 파국화, 자살사고 변인들 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위험회피 기질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서 걱정과 파국화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위험회피 기질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를 걱정이 매개하는 단일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위험회피 기질이 걱정과 파국화를 순차적으로 거쳐 자살사고에 도달하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높은 위험회피 기질이 자살사고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으나 직접적으로 자살사고를 일으키는 요인이기보다는 간접적으로 자살사고에 이를 수 있는 취약성임을 시사한다. 특히걱정과 파국화라는 인지적 변인을 통해 자살사고가 발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청소년들의 부정적 인지적 과정에 대한 개입이 자살사고를 조절하는 데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harm avoidance on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and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worry and catastrophizing. A total of 438 adolescents in Seoul and Kyunggi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Junior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12-18,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and Korea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harm avoidance, worry, catastrophizing, and suicidal ideation. Second, the relationship of harm avoidance and suicidal ideation was significantly mediated by worry, and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 was also significant from harm avoidance to worry, catastrophizing, and suicidal ideation successively. It is presumed that adolescents’ harm avoidance can affect suicidal ideation by mediating maladaptive cognitions. An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negative cognition is important in preventing suicidal idea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further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