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ICA EGAD의 RiC-CM 초안에 대한 각국 기록 공동체의 검토의견을 통해 ICA EGAD의 의도와 산출물 초안에 대한 중간평가를 알아보고, 국내 기록관리환경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RiC-CM에 대한 검토의견 중 일부는 웹을 통해 공개되어 접근할 수 있었다. 이 중 에는 이탈리아의 경우와 같이 국가차원에서 기록공동체가 모여 논의하 고 그 결과를 정리한 경우도 있었고, InterPARES Trust의 대표인 Duranti 와 같이 디지털보존과 관련된 전문가 공동체의 의견도 있었다. 또 한 AtoM 이용자에게 검토의견을 공개했던 Artefactual과 같이 시스템 구현 측면의 관점을 가진 공동체도 있었고, 호주의 기록관리 노하우를 가진 RecordKeeping Innovation의 대표인 Reed의 의견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검토의견을 분석하여 현재 국내 환경에서 필요한 세 가지 과제 를 제시하였다. 우선 RiC의 유용성을 우리의 환경에서 진단하기 위한 테 스트베트 구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기록물 기술정보를 통해 진본성과 무결성을 확보하기 위한 최소 수준의 데이터 요소 선정 필요성에 대해 서 논의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통합된 기록물 기술 표준의 활용을 위해 행위자와 기능에 관한 충실한 전거 데이터를 구축 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an analysis of the reviews provided by international archival professionals on the RiC-CM draft published by ICA EGAD. Som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archival management environment were also suggested. Some professional reviews were accessible through the internet. Italian archival professionals held workshops at various levels for the analysis and discussion of the draft. Duranti, the project director of InterPARES, also gave opinions about the draft in cluding the perspective of digital preservation. In the review of Artefactual, the draft was discussed in terms of system implementation. Reed, the director of Recordkeeping Innovation, also gave a feedback based on the record management experiences in Australia. Some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based on these professional opinions. First, we should try to build a test bed for the adoption of RiC to archival description in the Korean environment. Second, a minimum level of data elements that can secure authenticity and integrity will also be needed. Third and lastly, rich authority data for agents and functions related to archival records and records groups are essential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 stand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