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Study 1에서는 소비자의 마일리지 이용에서 다양한 마일리지 사용조건들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실험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으며, Study 2에서는 마일리지에 대한 소비자의 혜택과 경험 등의 변수를 도입하여 등가성인식과 가치지각을 통해 마일리지 사용의도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Study 1에서는 학부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소비자 자신의 항공사 마일리지 보유 3(고/중/저)×기본옵션 2(노선비대칭 고/노선 비대칭 저)×추가옵션 2(승급 비대칭 고/승급 비대칭 저)의 집단간 실험설계(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를 적용하였다. 각 실험집단의 크기는 20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총248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Study 2는 공항 이용객 중 항공마일리지 이용경험이 있는 이용액을 대상으로 조사한 총 15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Study 1의 분석결과, 노선비대칭 상황에서 마일리지가 많은 소비자는 장거리여행 시 마일리지를 소진하여 항공권 티켓을 구입할 의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손실회피이론과 쾌락적 프레이밍이론을 지지하는 결과로 이해된다. 또한 보유마일리지가 많은 경우에만 노선 및 승급비대칭상황에서 마일리지 보유의 풍부성 때문에 상대적으로 손실정도를 낮게 지각함에 따라 승급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Study 2의 분석결과, 항공마일리지 이용혜택, 이용편리성은 마일리지 가치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취득노력과 사용경험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마일리지 이용혜택, 편리성, 취득노력, 사용경험이 등가성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이용혜택만이 부(-)의 영향을 미치고, 나머지 변수는 모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등가성 인식이 마일리지 가치지각과 마일리지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일리지 가치지각이 정서적 몰입과 계산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역시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및 계산적 몰입은 항공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계산적 몰입의 경우 마일리지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had two purposes. The first purpose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uperior's personal characteristics on ethical leadership, trust in superviso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second purpose was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and trust in supervisor between superio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the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convenient sample of 256 nurses in a city.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using SPSS 12.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ethical leadership, trust in supervisor. Second, agreeableness, ethical leadership, trust in supervisor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 ethical leadership played as a complete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reeablenes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inally, trust in supervisor played as a complete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reeablenes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owever, there were no empirical evidence for the mediating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trust in supervis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