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기존의 노인에 대한 차별을 설명하는 이론인 좌절-공격성 이론을 근거로 중년의 차별경험이 노인에 대한 차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 영향력이 노인지위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를 사용하여 조사 당시 연령을 기준으로 중년층(40-54세) 509명의 응답지를 분석하였다. STATA14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년의 노인에 대한 차별행동 수준은 2.20점(5점)으로 약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지위에 대해서는 2.45점(4점)으로 중간정도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이 경험하는 차별은 0.74로 평균적으로 1개 이하의 차별경험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지 않은 경우 연구참여자의 차별경험은 노인에 대한 차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노인지위인식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결과 차별경험은 노인 차별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노인지위인식은 차별경험이 노인차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부적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차별받은 경험이 또 다른 사람에 대한 차별 행동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끊고 노인차별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노인의 이미지 개선과 평등의식의 확산 등의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iddle-aged Korean’s experience discriminated level on the acts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and moderating effect of the awareness of social status of the aged. The subjects were 509 middle-aged(40-54 years old) from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KGSS)(2011). This study applied descriptive analyse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with STATA14.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was 2.20points(5 points), and awareness of elderly’s social status was 2.45 points (4 points). Middle-aged Korean’s experience discriminated was 0.74.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discriminatory experiences affect positively on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However, the awareness of elderly' social status had a negative interac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ory experiences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was increased when the level of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was high and the social status of the aged was low.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ractical and political opinions for reducing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