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우울한 대학생들의 심리사회적 성숙성을 알아보고 이 두 변인 사이에서 자기자비의 역할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학생 235명은 자신의 우울, 심리사회적 성숙성, 자기자비정도를 보여줄 수 있는 각 척도에 응답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으로 우울과 심리사회적 성숙성과의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과 심리사회적 성숙성은 부적상관 관계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자기자비와 심리사회적 성숙성과는 정적인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우울과 자기자비는 부적인 관련성을 보여 주었다. 우울한 대학생들은 자기자비를 매개로 하여 심리사회적 성숙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데 부분매개효과보다 완전매개효과가 더 좋은 모형 적합도를 보여서 완전매개모형을 선택하였다. 대학생 시기의 경험과 교육은 대학생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특히 우울한 대학생들의 심리사회적 성숙성은 성숙한 인격체로 갈고 닦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우울한 대학생들의 심리사회적 성숙성 향상에 자기자비가 중요한 변인임을 보여주었다.


In order to examine the role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sychosocial maturity, the fit of the research model and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we re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235 college students, who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designed to measure each variabl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negatively predicted psychosocial maturity. Second, self-compassion positively predicted psychosocial maturity. Finally, depression negatively predicted self-compassi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s revealed that depression in the college students had perfect mediating effects that positively affect psychosocial maturity by mediating self-compassion. The model prepared for this was found to be suitable, and thus the role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sychosocial maturity in the college students was confirmed. Experiences and education in college life play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college students into mature individual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self-compass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overcoming depression and improving psychosocial maturity in college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