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43개 읍면동 공무원의 사회적자본으로 구성되는 신뢰, 규범, 네트워크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집단별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자본에 대한 성별 차이검증은 신뢰, 규범, 네트워크에 대해 성별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자본에 대한 직급 차이 검증은 신뢰, 규범, 네트워크 요인 모두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사회적자본에 대한 근무기관 차이 검증은 신뢰 p<0.01, 규범 p<0.05, 네트워크 p<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사회적자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살펴본 결과 신뢰 α=0.01, 네트워크 α=0.01, 규범 α=0.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살펴본 결과 신뢰 α=0.01, 네트워크 α=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impact of trust, norm and network composed of social capital of public officials in 43 eups, myeons and dong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nalyzed. The summary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y group, the impact of the social capital on the trust, norm and the network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impact of the social capital by rank, the impact of the social capital on the trust, norm and network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t at p<0.01.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impact of the social capital by institution, the trus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t p<0.01), norm at p<0.05 and the network at p<0.1). Second,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causal relations of the social capital on the job satisfaction, the trust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α=0.01, network at α=0.05 and the norm at α=0.05. Third,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causal relations of the social capital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trust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α=0.01 and network at α=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