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어 부사격 조사와 중국어 개사는 모두 허사(虛詞)에 속하는 것으로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조언어학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대상 표지’ 즉 ‘대상을 나타내는’ 의미 기능에 있어 한국어 부사격 조사에 상응하는 중국어 개사를 분석하고, 더 나아가 한국어 격조사와 중국어 개사에 대한 대조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대상 표지’ 의미 기능을 ‘행위가 영향이 미치는 대상’, ‘무엇을 받는 주체’, ‘주어에 대해 행위를 미치는 주체’, ‘관계를 맺거나 관련된 대상’, ‘비교와 비유의 대상’ 그리고 ‘행동이나 상태의 한정된 범위’ 등 여섯 가지로 분류하여 각 의미기능에서 한국어 부사격 조사에 상응하는 중국어 표현을 살펴본 결과, 모든 경우에 한국어 부사격 조사가 중국어 개사에 상응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경우에는 개사 형식이 아닌 다른 요소로 표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문장 중의 위치, 문장 구성, 어휘 변천 등 여러 면에서 한국어 부사격 조사와 중국어 개사에 대한 대조 분석을 통해 한국어 조사와 중국어 개사가 가진 양자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었다.


Both case auxiliaries in Korean and preposition in Chinese fall into the category of function words with many conceptual similarities. Based on the linguistic theory, the paper analyzes and compares the literal translation between adverbial case auxiliaries in Korean and preposition in Chinese in the category of object. The paper firstly further divides the “category of object” into the following six aspects: “object directly affected by action behavior”, “receiver”, “activity subject”, “related object”, “comparison or metaphor object” and “limited range”, and studies the Chinese translation of Korean adverbial case auxiliaries for each aspect. The paper finds that not all the adverbial case auxiliaries in Korean are equivalent to the preposition in Chinese. Base on the comparison result, the paper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about the adverbial case auxiliaries in Korean and preposition in Chinese from such aspects as sentential position, sentence composition and word development, therefore making a conclusion about the respective features of case auxiliaries in Korean and preposition in Chi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