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竟陵派는 공안파를 이어서 擬古派의 擬古主義的 창작 방법을 철저히 비판한 문학유파로, 경릉파의 이론적 주장은 기본적으로 공안파와 일치한다. 하지만 경릉파는 공안파의 시가 내용이 공소하고 생각이 천박한 시풍으로 흘러간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경릉파는 정신의 산물로서의 眞詩에 ‘幽情單緖’와 ‘孤懷’․‘孤詣’를 찾아내어 추구할 것을 주장했다. 이러한 경릉파의 시풍을 중국 문단에서는 ‘幽深孤峭’의 풍격으로, 조선 문단에서는 ‘牛鬼蛇神’의 풍격으로 정의내리고 있다. 둘은 용어는 다르지만, 모두 ‘괴이하고 허탄하며’ ‘음험하고 교묘하고’ ‘침울하고 고뇌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곧 경릉파의 시는 침울하고 우울하고 슬픈 정조의 내용을, 기존의 표현에서 볼 수 없었던 기괴하고 독창적인 표현방식으로 드러낸 것이라 하겠다. 李德懋 역시 경릉파의 시풍을 ‘탈속적이고’ ‘신령하고 모호하며’ ‘기발하고 괴이한’ 그리고 ‘곤궁한 심기와 불평 섞인 말’이 드러나는 것으로 이해했고, 이를 적극 수용하였다. 경릉파 시풍을 수용함으로서 이덕무의 시는 1)슬픔의 과잉 표출 2)감각적이고 섬세한 표현 3)기궤첨신의 미학이라는 특징을 두드러지게 보이게 되었다. 경릉파의 시풍은 인간이 가진 정서의 편폭, 특히 슬픔의 층위를 깊고 넓게 확장했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가진다. 슬픔의 감정 또한 사람마다 그 층위를 달리하는데, 골수에 사무친 슬픔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을 경릉파를 통해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덕무는 이러한 고민을 가장 절실히 하였고, 그의 시에 여실히 드러내 보인 경우라 하겠다. 이것이 경릉파 시풍을 수용한 이덕무 시의 한시사적 의의라 하겠다.


The theoretical assertion of Jingling Coterie(竟陵派) basically coincides with Gong'an Coteria(公安派). The Jingling Coterie tri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absence of Gong'an Coteria. The poetry’style of Jingling Coterie is defined as the style of '幽深孤峭' in the Chinese paragraph and the style of '牛鬼蛇神' in the Joseon literature. Both terms are different, but they can all be understood as peculiar, ambiguous, gloomy and agonizing. Lee Deok-Mu(李德懋) understood that the poetry’style of Jingling Coterie was peculiar, ambiguous, depressed and agonizing. And I accepted it actively. By accepting Jingling Coterie, the poem of Lee Deok-Mu show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remarkably. 1) Overexpression of sadness 2) Sensory and delicate expression 3) A unique and very new form of aesthetics. The style of Jingling Coterie is meaningful in that it deeply and broadly extends the width of human emotion, especially the level of sadness. Lee Duk-mu was worried about how he could express deep sorrow, and it have been well exposed in his po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