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개인 및 조직 변인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회적 기업정신은 사회적 목적과 경제적 목적을 균형적으로 추구하는 조직수준의 가치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치를 특징적으로 보이는 사회적 기업은 영리기업과 구분되며 비영리단체와도 차별화되는 속성을 조직의 문화로 갖게 된다. 사회적 기업에서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변인으로 심리적 주인의식의 영향을 검증하였으며, 이 관계에서 사회적 기업정신의 조절효과를 다수준 방법론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개인 수준에서 인식하는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32개 기업(사회적 기업=16, 중소기업=16)에서 140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였고, 교차수준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HLM 6.08을 사용하였다. 정서적 몰입에 관한 분석 결과, 심리적 주인의식의 정적 영향과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사회적 기업정신의 교차수준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계속적 몰입에 관한 분석 결과에서는 다른 패턴의 효과가 나타났다. 즉, 사회적 기업정신의 교차수준 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에 대해서 세부적으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사회적 기업의 여건을 고려하여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mbers of social enterprises, and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 and the organizational variables. The social entrepreneurship was defined as the organizational-level value that includes balanced social and economic purposes to differentiate social enterprises from commercial enterprises or non-profit organizations.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sychological own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entrepreneurship using multilevel methodology. Also, it tested the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s an individual-level moderator. 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by gathering 140 employees of 32 companies(social enterprises=16, smaller enterprises=16), and HLM 6.08 was used to analyze the cross-level relationships. In terms of the results of affective commitment. the positive effect of psychological ownership and the moderating effect organizational support were significant, while cross-level moderating effect of social entrepreneurship was not found. The results of continuance commitment showed a different pattern where the cross-level moderating effect of social entrepreneurship was found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 non-significant effect of psychological ownership needs to be examined in more detail. From the results, the study provid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to improve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Korean social enterpri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