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19대 대통령선거에서 전통적인 미디어와 새로운 정보 채널이 폭넓게 활용되었다는 점에 주목해 이들의 효과를 유권자들의 후보자에 대한 감정적 평가, 정치지식에 미치는 영향, 유권자의 정치심리(정치효능감)와 여론 인식에 미치는 영향으로 구분해 분석했다. 연구문제 1은 미디어 이용과 TV 토론이 후보자의 감정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으며 연구문제 2는 정치지식, 연구문제 3은 정치효능감과 여론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했으며 설문은 대선 이전에 실시됐다. 비례층화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총692명의 표본을 구성했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인구구성학적 변인과 정치관심, 대선관심, 정치이념, 지지후보자들을 통제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주요 분석 결과는 첫째, 텔레비전이 후보자의 평가와 정치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주요 매체로 관찰되었으며 둘째, TV토론의 경우, TV시청 이외의 다른 노출(예, 온라인에서 편집본 시청 등) 방식의 영향력이 관찰됐다. 셋째, 소셜미디어등 새로운 미디어의 효과는 일관적인 방향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미디어와 새로운 미디어가 유권자의 인지적 감정적 평가에 미치는 효과를 다양한 주요 변인을 통해 살펴봤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raditional media and new information channels during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on affect of candidates, political knowledge, political efficacy, and perception of public opinion. RQ 1 analyzed the effects of media use and TV debate to the affective evaluation of candidates. RQ 2 addressed the effects by these variables to political knowledge and RQ 3 examined the effects to the political efficacy and perception of public opin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and surveys were conducted before the presidential election. A total of 692 participants composed of the sample by using the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method. Main findings were; First, television was seen as a major medium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ndidates' evaluation and political efficacy. Second, the ways to use TV debate revealed the different effects. Third, the effects of new media such as social media was found not to be coherent. This study contributes by exploring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media including new media to the cognitive and emotional evaluation of presidential candid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