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17년 미군기지 이전이 본격화되면서 ‘군사기지’ 이후의 사회적 기억을 둘러싼 논쟁이 활발하다. 현재까지의 논의는 주로 환경과 조경・건축의 측면에서 이루어졌고, 용산의 역사적 기억에 대한 검토는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 이 글은 해방후 미군기지를 둘러싸고 형성된 냉전식민주의적 기억을 어떻게 역사화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다. 이는 용산의 사회적 기억을 식민지시기의 역사적 기억과 어떻게 연결시키고, 해방이후의 냉전식민주의적 기억을 발전과 세계화전략으로부터 어떻게 역사화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용산의 미군기지는 해방이전 일본군 기지의 역사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것은 공간과 건축물의 계승이라는 측면 뿐 아니라, 그 사회적 기억이 제국 중심의 질서라는 공통분모를 가진 식민주의와 냉전식민주의의 자장 안에 있다는 측면에서 내용적으로도 연결되어 있다. 해방직후 용산에 대한 기억은 식민주의 청산과 신국가 건설을 둘러싼 투쟁의 기억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것은 단적으로 해방촌과 1946년의 9월 총파업의 기억으로 응축되어 있다. 한국전쟁이후 기지촌과 ‘양공주’ 그리고 각종 미군 범죄 등은 미군기지에 대한 부정적 기억으로 각인되었다. 한편으로는 ‘미8군 무대’의 기억은 한국 대중가요 발전의 내적 동력으로 또 외부와의 소통 공간으로 기억되고 있다. 이후 시대의 변천과 함께 이태원을 중심으로 용산은 국제도시, 다문화의 상징으로 변모하였다. 이처럼 용산을 둘러싼 기억은 다양하다. 그럼에도 현재 제시된 용산의 미래 구상들에는 냉전식민주의적 기억보다는 개발과 민족공원화의 담론이 주된 키워드가 되고 있다. 어두웠던 기억을 있는 그대로 기억하는 일은 그것을 극복한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가는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식민과 냉전식민주의의 어두웠던 역사를 세계사적 차원에서 복원하고 기억하려는 노력이 그래서 중요하다.


As the U.S. Army at Yongsan Garrison began base relocation, Yongsan as post-military space has gain much public attention. Lively discussions have focused on environmental issues and future landscape planning. However, the debate over memory of Yongsan, which is inseparable from the future imagination of Yongsan, has just begun. This paper aims to link social memory of Yongsan to political histories of Japanese colonialism and the U.S. Cold-War colonialism in the post-liberation context. By doing so, this article considers how Yongsan is historicized and also highlights a challenge that arises in this process. The U.S. Army at Yongsan is deeply related to the history of the Imperial Japanese Army. It indicates that the social memory of Yongsan is shaped by order of empires where Japanese colonialism and the U.S. Cold-War colonial powers intersect. Yongsan in the post-liberation context was remembered as a site of resistance. It was then remembered as an ‘unsafe’ neighborhood after the Korean War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U.S. Army garrison. At the same time, in the memory of the Eighth Army Band, it symbolized the development of South Korean mass entertainment, as well as a hub between Korea and another world. In contemporary South Korea, it is widely known that Yongsan, located near Itaewon, transformed into a global city which attracts tourists from all over the world. Despite these various memories, the central topic in the discussions of Yongsan planning revolves around discourses of development and the construction of a national park. This paper suggests that recording, representing, and sustaining historically shaped memories is the first step to challenge the ongoing effects of the Cold-War colonial powers. By doing so, we can imagine and create a new future of Yongsan. Thus, it is significant for us to make an effort to memorize ‘dark’ sides of histories of the Cold-War colonialism as contextualizing it in global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