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1883년에 영국이 서울에 공사관 부지를 선정하고 매입하는 과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주일 영국 공사 파크스는 제1차 조영조약 체결 직후인 1882년 8월에 애스턴을 조선으로 파견하였다. 애스턴의 조선 파견 목적은 임오군란 이후 반외세 분위기를 확인하고, 개항장 내 조계지 및 영사관 설치를 위한 예비 조사를 하기 위함이었다. 그 조사를 통해서 애스턴은 임오군란의 우려와는 달리 조선인들이 서양인에 우호적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그는 유럽인들이 머무는 가옥을 조성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서울에서 공사관부지를 선정해야 한다고 건의하였다. 애스턴의 건의를 수용한 파크스는 1883년 3월에 공사관 부지 선정을 목적으로 애스턴을 서울로 파견하였다. 서울에 도착한 애스턴은 외아문 관리들과 교섭을 통해서 정동에 위치한 신헌 소유의 저택의 선점을 약속받았다. 그리고 영국은 조약 비준과 동시에 미리 정한 공사관 부지를 매입하고 곧바로 서울에서 외교업무에 돌입할 수 있었다. 영국이 조약 비준 이전에 공사관 부지를 선점하고자 했던 이유는 자국 외교관과 상인의 조선 상주 이전에 공사 및 영사업무를 위한 제반 시설을 완비하기 위함이었다. 이를 통해서 영국은 서울을 거점으로 조선에서 정치적・경제적 이익을 확대하고자 했다. 이는 1860년대 영국이 텐진조약과 베이징 함락, 그리고 영일통상조약을 통해서 베이징과 에도에 외교관 상주를 관철시키려고 한 목적이기도 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selecting and purchasing the site of a British legation in Seoul in 1883. Harry Parkes, the British Minister to Japan, sent Aston to Korea in August 1882, shortly after the conclusion of the first Anglo-Korean Treaty. The aim of sending Aston to Korea was to check the anti-foreign atmosphere after the Im-o military uprising and to conduct a preliminary investig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foreign settlement and the consulate in the open ports. Through the survey, Aston confirmed that Koreans were friendly to Westerners, contrary to the concerns of the Im-o military uprising. Furthermore, he suggested that, in order to create a house where Europeans could stay, the building site for legation should be selected in Seoul. After accepting Aston's suggestions, Parkes sent him to Seoul in March 1883 for the purpose of selecting the building site for the legation. Having arrived in Seoul, Aston was promised the right to preferentially purchase Shin hun’s house in Chungdong through negotiations with officials in Foreign Affairs in Korea, and in April 1884, with the ratification of the second Anglo-Korean Treaty in April 1884, Britain was able to purchase the pre-designated compound and immediately start diplomatic service in Seoul. The reason Britain wanted to purchase the legation site before the ratification of the treaty was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and consular service before the residency of its diplomats and merchants in Korea. Britain, therefore, sought to expand 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s in Korea. It was also the purpose of the British in the 1860s to pursue diplomatic residence in Beijing and Edo(Tokyo) through the Treaty of Tientsin(1858) and Convention of Peking(1860), and The Anglo-Japanese Treaty of Amity and Commerce(1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