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가다머의 관점을 통해 예술의 과거성을 설명하고, 그가 제기하는 예술의 새로운 타당성이 과거로부터 스스로를 이해하는 자기이해임을 서술하고자 한다. 이는 헤겔의 예술의 종언 테제에 대한 가다머의 해석에 바탕을 두고 있다. 헤겔은 자신의 철학의 체계 내에서 예술의 종언을 언명했으며, 가다머의 관점에서 이는 근대의 기독교-휴머니즘적 자명성의 지평에서 예술이 과거성을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Ⅱ). 이때 예술은 자신을 과거적인 것으로 이해함과 동시에 자기 자신의 타당성 요구를 하게 된다. 가다머는 자명성 종언의 시대에서 예술은 만인에게 명백하게 이해되는 공통적 자명성을 요구할 수 없게 되었으며, 이를 현대 예술의 반예술 현상으로 드러낸다고 본다(Ⅲ). 그의 관점에서 예술은 다시금 타당성을 요구하는 시기에 다다랐으며, 여기에 답할 수 있는 방식은 해석학적 자기이해다. 예술은 이해된 것으로서의 과거성과 그것을 다시금 이해하는 순환의 구조 안에서, 스스로를 이해하는 예술작품으로서 존재한다. 놀이는 놀이하는 사람보다 우선하지만 놀이하는 사람에 의해 표현되면서 스스로의 존재를 충족시킨다. 그러한 방식으로 예술작품 또한 감상자의 참여로써 스스로의 존재를 표현하게 된다. 이러한 예술작품은 공통적인 이해를 요구하지 않으며, 감상자의 다양한 이해로써 충만하게 존재한다(Ⅳ).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past character of art through Gadamer's interpretation of "End of the Art" thesis of Hegel. His interpretation also reveals that new art can demand a validity as a way of self-understanding that the art understands itself from its past. Hegel declared the end of art in his philosophical system. From Gadamer's perspective, it means that art has past character in the horizon of modern christianity-humanistic self-evidence(Ⅱ). Then art understands itself as the past and demands its own validity. Gadamer sees that art cannot require common self-evidence which is clearly and universally understood by all in an age of "the end of self-evidence." And according to him, this requirement shows up in the phenomenon of anti-art in post-modernism(Ⅲ). From his standpoint it is about time to demand new validity of art again and this requirement could be complied through hermeneutical self-understanding. Art exists as a self-understanding artwork in the cycle of understanding in which art understands itself as an understood past. As a play is played by players, artwork exists as participating spectators. This artwork does not demand a common understanding but exists through various understandings of spectators(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