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사별을 경험한 성인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지속비애 증상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러한 매개효과가 정서조절곤란에 따라 달라지는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방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사별경험이 있는 668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과적단계접근법과 부트스트래핑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과 위계적 회귀분석과 조건부 조절효과 검증을 통해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Hayes(2013)의 SPSS MACRO를 사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지속비애 증상과의 관계에서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세상에 대한 부정적 신념, 자신에 대한 부정적 신념, 자기 비난의 매개효과가 모두 유의했다. 외상 후 부정적 인지와 지속비애 증상과의 관계에서 자기비난과 세상에 대한 부정적 신념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자신에 대한 부정적 신념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지속비애 증상과의 관계에서 자기비난과 세상에 대한 부정적 신념의 매개효과를 정서조절곤란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fter bereavement and prolonged grief symptoms, as well as examine whether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are influenced b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A total of 668 adults who have experienced bereavement were analyzed. Both a causal steps approach (Baron & Kenny, 1966) and bootstrapping were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SPSS ACRO (Hayes, 2013) was used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Results demonst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sub factors (negative beliefs about the world and self-bla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rolonged grief. Emotion dysregulation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cognitions and prolonged grief.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blame and negative beliefs about the world were significant, but not as significant as negative beliefs about the self. Lastly,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significant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blame and negative beliefs about the worl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rolonged grief was verified. Limitation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