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영화를 보면서 현실과 같은 감각을 느끼도록 고안된 것이 S3D 영화이다. 서사의 구성 요소인 공간적 배경, 캐릭터, 갈등 등에 ‘입체 값(depth)’이 매겨진 영화를 보면서 관객들은 ‘실재감(實在感, the presence)’을 느낀다. S3D 영화만이 갖는 서사적 특징으로 먼저 공감각의 극대화를 들 수 있다. 공간이 ‘여기’와 ‘저기’로 변화하고 확장된다. <아바타>와 <크리스마스 캐롤>, <드래곤 길들이기>, <코렐라인>을 보면 모두 ‘여기’와 ‘저기’라는 두 공간이 뚜렷하게 대비된다. 공감각의 극대화를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레이어’(layer)를 배치하고 구성해 놓은 것이다. <크리스마스 캐롤>의 오프닝 장면에 카메라가 하늘에서 도시를 부감하다가 속도의 완급과 앵글을 다양하게 조절하면서 건물과 거리의 인물들이 있는 도시 공간 내부로 이동한다. 이 장면에 레이어를 많이 둠으로써 관객으로 하여금 공감각을 느끼도록 한다. 그리고 등장인물이 공간 이동을 한다. <아바타>, <크리스마스 캐롤> 등에서 등장인물이 공간을 이동하는 장면이 나온다. 큰 터널을 지나 가 새로운 세계로 들어가는 모습은 새로운 세계로의 진입을 실감 있게 느끼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공간 설정과 공간 이동과 같은 서사적 구성이 관객에게 공감각을 주어 실재감을 갖게 한다. 인물 캐릭터를 형상화하는 데 있어서 선한 캐릭터는 ‘포지티브 시차’(positive parallax), 악한 캐릭터는 ‘네거티브 시차’(negative parallax)로 되어 있지만, 이것이 일반화되어 있지는 않다. 분명한 것은 선한 캐릭터와 악한 캐릭터의 ‘입체 값(depth)’은 서로 반대되도록 매겨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한 캐릭터에 매겨진 입체 값이 서사 내에서 변화하지 않는다. 인물들이 갈등을 겪는 상황에서도 입체 값을 사용하였다. <드래곤 길들이기>는 하나의 플롯과 두 개의 서브플롯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메인플롯은 드래곤과 인간이 대립하는 ‘외적 갈등’이고, 서브플롯은 주인공 ‘히캅’이 자신의 신체적, 정신적 결함을 넘어서야 하는 ‘내적 갈등’이다. 이런 갈등 관계에 대해서도 입체 값을 서로 대비되도록 해 놓았다. 이것은 심리적 갈등을 감각적으로 느끼도록 하기 위해서다. S3D 영화가 현실과 같은 실재감을 갖도록 온갖 서사 구성 요소들을 사용하였고, 비 서사적인 색채나 사운드도 최대한 활용하였다. <아바타>처럼 지구인이 사는 곳이 기계와 비행선 소리와 같은 음향으로 되어 있는 데 비해 ‘나비 족’이 있는 세계는 새와 풀벌레 소리가 나는 자연의 음향으로 되어 있다. 이처럼 서로 대비되는 음향 및 사운드가 두 공간에 대한 인식을 감각적으로 느끼도록 해 놓았다. 본 연구는 서사를 중심으로 S3D 영화의 실재감을 규명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입체 값이 서사의 구성 요소들에 사용되어 S3D 영화의 특징을 잘 드러냄을 알 수 있었다. S3D 영화란 어디까지나 잘 만들어진 스토리일 뿐만 아니라 몰입형 스토리텔링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영상 예술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할 것이다. 본 연구가 향후 S3D 영화의 시나리오 창작에 도움을 주고, 촬영과 편집에도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spatial background, characters, conflicts, etc. They were used for each of the narrative components in in-3D depth assignments. The narrative feature of S3D movies is the primary maximization of synesthesia. Space was not only used as a background of the film but was also changed and expanded. Avatar, A Christmas Carol, How To Train Your Dragon, and Coraline all show a clear contrast between 'here' and 'there'. Another way to maximize synesthesia is to arrange and organize layers. At the opening of A Christmas Carol, the camera drives the city from the sky and adjusts the speed and angles variously so that the people in the building and the street move into the urban space where the layers form. They stereotyped the arrangement of layers to the synesthesia that people have when they look at the world as they fly through the sky. It also moves in space. It is a narrative device that seeks to maximize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by using the motif that the character moves in space such as is used in Avatar and A Christmas Carol. This spatial setting and spatial movement are the narrative features of S3D movies only because they are the most effective way to express stereoscopic effects. There is no generalized formula for characterizing good characters: positive space, evil characters are negative spaces. However, the good character and the evil character have stereoscopic valu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stereotypes assigned to one character are consistent within the narrative. Only then can the audience perceive one character in the same sense. Even when characters are in conflict, they are expressed using stereographic values. How To Train Your Dragon consists of one plot and two subplots. At this time, the plot shows the 'external conflict' in which the dragon and the human are confronted, and the subplot shows the 'internal conflict' in which the main character Hiccup must overcome his physical and mental defects. The narrative conflict has a deep correlation with the stereoscopic value. Since S3D movies evoke realistic feelings through realistic 3D effects, auditory elements are as important as the visual. Avatar uses auditory elements to distinguish the world of the earth and the world of the Sky. S3D should always be remembered as a means of emphasizing a well-made story, a means of immersive storytelling. In other words, in order to make an S3D movie even if it can be made into a 2D movie, a corresponding scenario should be supported, and the elements of narrative should be constructed so as to realize pres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three-dimensional sensation is clarified in the narrative. Additionally, I examined whether the components of the narrative worked to give a sense of existence. I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help to create scenarios of S3D movies in the future and can be used for shooting and edi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