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디지털 시각효과가 영화 언어의 체계를 변화시켰는가 아닌가라는 물음에서 스티븐 프린스의 책 <영화 속 디지털 시각효과: 현실성의 유혹 Digital Visual Effects in Cinema: The Seduction of Reality>을 읽는다. 20세기의 영화산업을 이끌었던 필름을 대신한 디지털 영상 테크놀로지가 21세기 영화산업을 변혁했다. 관객의 시신경을 자극하는 영화적 볼거리와 상상의 세계는 디지털 영상 기술의 진보로 끝없이 확장하고 있다. 영화학자들은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영화의 제작에서 관람에 이르는 모든 산업 영역에 그리고 ‘필름’에 기반 해 지난 100년 동안 구축된 영화의 미학적․사회적 의미와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를 탐구하고 있다. <영화 속 디지털 시각효과: 현실성의 유혹>은 디지털 영상 테크놀로지의 사용사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디지털 시각 효과의 정의, 역사, 미학, 서사적 효과를 전반적으로 다룬다. 이 저서에서 프린스는 시각효과는 매우 비현실적이고 환상적인 세계를 창조할 수 있는 능력만큼이나 사실적인 묘사를 실현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았다고 주장한다. 책의 1장에서는 영화제작에 도입된 컴퓨터 그래픽 기술의 역사 그리고 관련 개념과 용어를 상세하게 다루며, 2장에서는 디지털 이미지 합성 기법과 디지털 영상 장비에 대한 형식적, 미학적, 이론적 분석을, 3장에서는 디지털 환경에서의 연기와 디지털 배우, 4장에서는 영화의 시대적 배경을 가상적으로 만드는 데 사용되는 디지털 시각효과를,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디지털 시각효과와 3D영화의 몰입적 효과를 사실주의의 관점에서 다룬다. 다양한 디지털 시각효과를 설명하면서도 프린스는 한결같이 디지털 테크놀로지로 인해 영화제작에서 관람에 이르는 모든 영역에서 혁명적인 변화가 진행된 것은 사실이지만 영화는 여전히 과거 셀룰로이드 시대와 미학적인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환영의 창조라는 영화의 본질에서 다르지 않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reviews Stephen Prince’s 2012 book, Digital Visual Effects in Cinema: the Seduction of Reality in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cinema has changed in its way of telling stories since its digitization. Having replaced film, digital imaging technologies revolutionized the film industry in profound ways. They have been expanding the illusory world of cinematic spectacles that always excite our eyes. Many scholars in cinema studies have been interested in developing the understanding of digital cinema, its history, theories, and aesthetics. Particularly, they focus on whether a new aesthetics is emerging in filmmaking in cinema’s digital age. Stephen Prince’s book is a valuable contribution to the growing literature on digital culture. The book features a useful survey of the history of digital technology. Individual chapters are about selected production departments, such as those in lighting performance and art directing, which form the codes of realism that anchor the visual aspect of classic Hollywood storytelling. Without overwhelming readers with unnecessary details, Prince provides a behind-the-scenes look at various digital visual effects, while comparing with corresponding special effects of the film age. Prince’s main argument is that the digital visual effects adhere to conventional codes of re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