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수치심 경험과 행위중독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595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를 구하고, 측정모형 및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위중독과 경험회피 간의 상관을 제외한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수치심 경험과 행위중독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와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매개변인 중 개인 내적 변인인 경험회피는 사회적 지지를 거쳐 행위중독에 순차적 부분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개인 외적 매개변인인 사회적 지지는 행위중독에 부분매개효과를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대상의 행위중독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수치심 경험, 경험회피 및 사회적 지지의 심리적 기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ce avoidance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 experience and behavior addic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instruments which measure shame experience, behavior addiction, experience avoidance, and social support were administered to 595 6th grade students from 11 elementary schools in Seoul. In order to calculate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of the main variable and verify the measurement and research model, the results of tests were analyzed by SPSS 23.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shame experience, behavior addiction, experience avoidance and social support except behavior addiction and experience avoidance. Second, experience avoidance and social suppor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 experience and behavior addiction. Specifically, experience avoidance and social support had a sequential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at the same time social support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 experience and behavior addic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it is required to consider psychological mechanisms of shame experience, experience avoidance, and social support in developing the program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hildren's behavior addi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