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부모애착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숙달접근 성취목표지향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와 강원도에 소재한 고등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척도, 학습몰입척도, 숙달접근 성취목표지향성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과 Sobel 검증을 통해 숙달접근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부모애착과 학습몰입의 관계를 숙달접근 성취목표지향성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부모애착과 숙달접근 성취목표지향성, 학습몰입의 관계를 밝힌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학습몰입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고등학생을 상담할 때 안정적 부모애착의 수준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숙달접근 성취목표지향성 수준을 향상시켜 줄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와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f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mastery-approach)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learning flow among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dministered the parental attachment scal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mastery-approach) scale, learning flow scale to 300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 Gangwon-do. And tested the mediating effec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mastery-approach)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mastery-approach) mediated partially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learning f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mastery-approach) and learning flow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hen the counseling helps them to stable parental attachment level and also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mastery-approach) level is enhanced. Finally, the following provide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