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장애인 근로자의 직장근속연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였다. 첫째, 장애인 근로자의 직장 근속연수 결정요인은 비정규직근로, 고용계약기간(p<.01, β=.392 / β =.379)로 나타났으며, 종사자지위(p <.05, β =.343)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 근로자의 직장요인 중 비정규직근로, 고용계약기간, 종사자지위가 근로연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장애인 근로자의 직장 근속연수 결정요인에 대한 상관관계는 근속연수와 고용계약기간( .627)은 p<.01 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비정규직근로와 근속연수(.354), 사업체유지계획과 근속연수(.331), 고용계약기간과 근속연수(.414), 근속연수와 월평균임금(.258)은 p<.05 수준에서 유의한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셋째, 장애인 근로자의 개인요인이 근속연수 결정요인에 대한 차이분석은 연령은 만20세미만이 20세~29세보다 높게 나타났고, 결혼상태는 미혼이 기혼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수입은 5천만원이상이 3천만원 이상~5천만 미만 보다 높게 나타나 p<.01의 신뢰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은 3년제 이하 대학이 대학원(석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p<.05의 신뢰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인 근로자 개인요인과 직장요인에 대한 특성요인의 중요성를 파악하고 장애인 근로자의 근속연수를 높일 수 있도록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고용 확대를 위한 효과적인 정책을 마련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social enterprises on the job tenure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First, the determinants of job tenure of disabled workers were non-regular workers and employment contract duration (p<.01, β=.392 / β=.379), and employee status (p<.05, β=.343).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irregular workers, duration of employment contracts, and employee status affect the working years of the disabled worker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years of service and the period of employment contract (.627) was significant at the level of p <.01,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years of non - regular work and service tenure (.354) (P <.05), the number of years of service, the number of years of service, and the monthly average wage (.258). Thir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individual factors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on the determinants of serviceability showed that the age of 20 years old was higher than that of 20~29 years old, the marital status was higher than that of married ones, (P <.05), and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raduate school (master ‘s degree) at p <.05 Resp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factors and worker factors for disabled workers and to establish effective policies for long - term and stable employment expansion so as to increase the working hours of disabled wor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