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국내 장애인 수는 전체 인구의 4.8%로 결코 적지않은 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대부분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는 국공립시설을 기반으로 하는 재활 및 직업교육 위주의 서비스로 이루어져 있다. 장애인 지원서비스의 궁극적인 목적인 ‘자립’을 위해서는 시스템적인노력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활동보조인의 역할이 필수적인데, 본 연구에서는 도움을 필요로 하는 장애인과활동보조인을 연결시켜주고, 지속적인 관계를 발전시켜나갈 수 있는 서비스를 다학제적 접근방법인 사용자경험디자인 관점에서 제안하고자 한다. 문헌연구를 통해 장애인 지원과 관련된 국내외 사례조사를 진행하고, 국립재활원 등의 장애인지원서비스 관련 전문가 인터뷰 및 장애인과 활동보조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분석을 통해 문제점과 인사이트를 도출한 뒤, 사용자경험모델링을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퍼소나와 사용자시나리오를 개발하여 구체적인 해결안을 도출하였고, 최종적으로 장애인과 활동보조인을 연결시켜주고 지속적인 관계를 발전시켜나갈 수 있는 서비스 컨셉을개발하였다. 구현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프로토타이핑을 통해 사용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도움을 필요로 하는 장애인과 활동보조인을 연결시켜주는 플랫폼을 제시함으로써, 장애인의자립을 돕기 위한 실질적인 지원은 물론, 봉사를 원하는 비장애인을 자연스럽게 활동보조인으로 역할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장애인과 비장애인과의 자연스러운 교류를 촉발하여 장애인 지원서비스에 대한인식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number of disabled people in Korea is 4.8% of the total population, but most of them are rehabilit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services based on public facilities. In order to achieve 'self-reliance,' the ultimate aim of disabled people's support services, we need not only systematic efforts, but also the role of various activity assistants.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propose a service that can connect disabled people who need help with activity assistants from a user experience design point of view.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we conducted a case study on domestic and overseas cases related to the support of the disabled. And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experts related to the support services for the disabled, and conducted a user research for the disabled and activity assistants. After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derived problems and insights, and then conducted user experience modeling. Based on this, we have developed a service concept that enables us to connect the disabled person with the activity assistant and develop the lasting relationship. The implemented application service was verified for usability through prototyping. This study suggests a platform that connects the disabled who need help and activity assistant, so that they can actively support non-disabled persons who want to volunteer as well as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to help the disabled. In addition, it can stimulate the natural exchange between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people, so that the awareness of the disabled support service can be expected to be improved.